“버튼 하나로 주차·주행” 美·中 ‘자율주행 추격전’…국내 시장은? [모빌리티]

입력 2024-12-10 14: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테슬라,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FSD V13 공개
트럼프 2기 출범 후 규제 완화 혜택 받을 듯
중국 바이두, 홍콩 내에서 시범 운행 테스트
국내 레벨4 이상 자율주행 상용화 2027년 목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버뱅크 있는 워너브러더스 스튜디오에서 로보택시 '사이버캡'을 타고 손을 흔들며 등장하고 있다. (자료제공=테슬라)

전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 경쟁이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자율주행 규제 완화를 예고하면서 미국 기업 테슬라, 웨이모는 특수를 누릴 것으로 전망되고, 중국의 바이두, 샤오미도 자율주행 기술을 빠르게 고도화하며 추격전을 펼치고 있다. 반면 국내 자율주행 시장은 기술적인 여건을 갖췄음에도 제도적 지원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다.

10일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과 자동차 업계 등에 따르면 전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이 2030년 177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통상 자율주행 단계는 0부터 5까지 6단계로 구분되는데, 미국과 중국은 특정 구간을 제외하고 운전자의 개입이 불필요한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기술을 갖춘 로보택시 상용화에 성공했다.

자율주행 시장의 선두주자 테슬라는 10월 로보택시 ‘사이버캡’을 공개한 데 이어 최근 자율주행 지원 소프트웨어 FSD(Full Self-Driving) V13를 출시했다. V13가 적용된 자율주행차는 주차 상태에서 버튼 하나를 눌러 FSD 시작이 가능하며, 도심·고속도로 내에서 자동으로 속도 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충돌 방지를 위한 예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해상도로 주행 영상 데이터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현대차그룹 싱크탱크 HMG 경영연구원에 따르면 테슬라는 FSD V13을 활용해 내년 중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주에서 자율주행 승차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HMG 경영연구원 관계자는 “테슬라는 자사 자율주행 로드맵인 ‘베타(Beta)→감독형(Supervised)→무감독 완전자율주행(Unsupervised)’ 중 마지막 단계를 구현함으로써 자율주행 기술의 대중화를 선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구글의 자율주행 자회사 웨이모는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피닉스 내에서 매주 10만 건의 무인 자율주행 서비스 ‘로보택시’를 운행 중이다. 웨이모는 2026년부터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출시해 미국 동부 지역까지 서비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 이후 완전 자율주행 규제 완화를 시사하고 있다. 자율주행 일정 단계에서 운전자 의무 착석 규제를 완화하거나 업체당 자율주행차 배치를 늘리겠다는 목표다. 이에 테슬라나 웨이모는 자율주행 활성화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中 곳곳에서 ‘로보택시’ 운영…국내 상용화는 2027년 목표

▲바이두의 로보택시 '아폴로 고(Apollo Go)'. (자료제공=바이두)

중국은 자율주행 시장 내 새로운 추격자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들은 최근 몇 년 사이 고도화된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이고, 정부 또한 자율주행 시범구역을 늘리는 등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중국 내 대표 정보통신(IT) 기업 바이두는 베이징, 선전, 우한 등 중국 전역에서 700만대의 로보택시 ‘아폴로 고(Apollo Go)’를 운영하고 있다. 바이두는 중국 현지를 비롯해 해외로까지 자율주행차 운행 범위를 넓히고 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바이두는 홍콩 교통부로부터 아폴로 고 10대에 대한 테스트 운행 승인을 받았다.

중국 전기차 기업 비야디(BYD)도 개인 맞춤형 브랜드 ‘팡청바오(Fangcheng Bao)’에 화웨이의 전기차 전용 첨단 자율주행 시스템 ‘첸쿤 ADS 3.0’을 도입할 계획이다. 첸쿤 ADS 3.0 시스템은 테슬라의 FSD와 유사한 소프트웨어 모델로 첨단 스마트 주행 기능을 지원한다.

현재 정부는 레벨 4 이상의 완전자율주행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시기를 2027년으로 목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현대자동차 등 일부 기업들이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 자체는 확보했지만, 테스트 공간 등 제도적 지원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올해 12월 기준 국토교통부가 지정한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는 전국 17개 시·도 내 총 42곳에 불과하다. 현재 서울 강남구·마포구, 경기도 용인시·화성시 등 한정된 자율주행 시범운영 지구에서만 자율주행차가 다닐 수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자율주행차를 운영 중인 ‘오토노머스에이투지’는 8월 도심 자율주행 누적 주행거리 50만㎞를 달성했지만, 이는 미국 웨이모(3000만㎞)와 중국 바이두(1억1000만㎞)에 비해서는 역부족이다. 테스트 공간 자체가 부족하다보니 데이터를 쌓을 수 있는 여건이 안 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의 무인 로보택시 등 빠른 자율주행 서비스 전개와 달리 국내는 주요국과 비교 시 투자금과 제도적 지원 수준이 열세에 있다”라며 “해외 주요 업체와 유사한 상용화 속도를 갖추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정책 부분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