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창업 주역으로”…중기부, 인프라 확충ㆍ창업 성장 지원 가속화

입력 2024-06-20 13:39수정 2024-06-20 13: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기부, ‘스타트업 코리아 주역 경북’ 발표
딥데크 스타트업 성장 촉진 및 기술보호 지원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경북 경산시 영남대 경산캠퍼스 천마아트센터에서 '동북아 첨단 제조혁신허브, 경북'을 주제로 열린 스물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중소벤처기업부가 경북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창업 인프라를 확충, 지역 딥테크 스타트업의 성장을 가속화, 나아가 스타트업 기술보호를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가 20일 오전 ‘동북아 첨단 제조혁신허브 경북’을 주제로 스물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이날 중기부와 기획재정부 등 여러 부처는 합동으로 마련한 경북 지역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중기부는 스타트업 파크, 제조 인큐베이팅 센터 등을 지원해 경북을 청년 인재와 창업·벤처 기업들이 한데 모이는 '스타트업 코리아'의 주역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경산 스타트업 파크 구축·포항 제조 인터베이팅 센터 조성

(자료제공=중기부)

먼저 중기부는 창업자가 대기업, 대학·연구기관, 투자자 등과 자유롭게 소통‧교류하며 성장할 수 있는 지역의 혁신 창업 공간인 스타트업 파크를 전국 지방에 조성하고 있다. 특히 도전정신을 갖춘 청년 인재가 지역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스타트업 파크를 중심으로 문화‧소통‧주거가 결합된 청년창업 복합공간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2022년 경상북도와 경산시를 스타트업 파크 조성사업으로 선정하고, 건축 설계를 거쳐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작년 12월 공사를 개시했다.

중기부는 또한 지역 제조 창업자의 첨단기술을 사업화할 수 있도록 생산시설 공정개발 및 제품 실증 등 벤처·스타트업 제품의 초도 생산을 지원하는 제조 인큐베이팅 센터를 포항에 전국 최초로 구축하고 있다. 2023년 신규사업으로 추진돼 경상북도와 포항시, 포스코가 제조 인큐베이팅 구축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이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설계 마무리를 진행하고 있다.

완공 이후에는 첨단기술을 개발한 벤처․스타트업 약 10개사를 선정해 제조 인큐베이팅 센터에 입주시키고, 2~3년간 첨단제품 생산을 위한 공정개발 지원, 생산제품에 대한 품질검증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해 지역 제조 창업자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도울 계획이다.

지역 벤처투자 활력 제고…딥테크 육성체계 구축

▲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19일 서울 중구 위조인스에서 열린 '한-UAE 중소벤처협력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중소벤)

중기부는 지역 벤처투자 활력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8월 발표한 '스타트업 코리아 종합대책'을 통해 비수도권 지역의 창업·벤처기업에 중점 투자하는 벤처펀드를 2026년까지 누적 1조 원 이상 조성한다. 이와 함께 지역 엔젤투자허브를 2027년까지 전국 5개 광역권에 개소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모태펀드를 통해 지역 분야에 역대 최대 규모인 1000억 원을 출자해 4500억 원 규모의 지역 벤처펀드를 추가로 조성한다.

중기부는 또한 인공지능(AI)·바이오 등 신산업 분야 기술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 딥데크 스타트업 육성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역에서 출발하는 딥테크 스타트업의 성장을 뒷받침하도록, 전국 17개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의 유망 딥테크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투자유치와 대기업 협업을 통해 성장을 돕는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매주 센터별로 미니 피칭데이 등을 운영해 창업 BuS 프로그램에 참여할 지역의 유망 스타트업을 상시 발굴한다.

지역 스타트업의 기술유출 방지를 위해 법적 부담을 덜고 경영과 성장에 역량을 집중하도록 온라인으로 전문적인 법률상담을 받도록 지원한다. 특히 투자나 공동연구 등 협업 과정에서 스타트업 기술탈취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기술침해 요인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도록 스타트업 전용 기술보호 자문 서비스 등을 도입하고, 관련 법 개정을 통해 스타트업의 혁신기술 등을 폭넓게 보호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