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K콘텐츠 글로벌 4대 강국 도약전략' 발표

입력 2024-06-18 16:48수정 2024-06-18 17: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 총리, 제8차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 개최
"K콘텐츠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18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경기기업성장센터에서 열린 제8차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K콘텐츠 국가전략산업화, 콘텐츠 기업 성장, 세계 주류문화 도약, 핵심장르 집중지원 등을 골자로 한 '케이-콘텐츠 글로벌 4대 강국 도약전략'을 발표했다.

18일 정부는 판교 엘에이치(LH) 기업성장센터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8차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콘텐츠 수출 전략을 발표했다.

한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많은 콘텐츠 기업들이 자금난으로 중견기업 도약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성장 정체에 대한 위기감 역시 확산하고 있다"라며 "콘텐츠 산업이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 국가적 지원전략과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콘텐츠 산업이 세계 4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플랫폼과 창작자 등 콘텐츠 산업의 주요 플레이어들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

우선 정부는 콘텐츠산업 향후 30년을 이끌 K콘텐츠 복합문화단지를 조성한다. 또 모태펀드 문화계정(2조4000억 원), 대형 콘텐츠 집중 투자를 위한 케이-콘텐츠·미디어 전략펀드(1조 원) 등 약 3조4000억 원의 정책펀드를 공급한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에 K콘텐츠의 세계 우위를 지속하기 위해 △3대 장르(공연, 영상, 게임) 연구개발(R&D) △타 산업(디스플레이·모빌리티) 융합 연구개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등을 지원한다.

연간 20만 명 정도가 방문하는 '지스타'가 세계 3대 게임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강화(이스포츠 대회·케이팝 공연 등)한다. 기기 등 연관산업까지 전시 분야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세계 웹툰 축제와 국제적 권위의 시상식을 개최해 웹툰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한다. 이외에도 'K뮤직 페스티벌' 개최 등 해외 팬들에게 한국 방문의 다양한 매력을 제공할 예정이다.

영화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간 경계가 모호해지는 영상산업 변화를 반영해 영화·비디오법을 개정, 영상콘텐츠에 대한 통합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제작사와 OTT 플랫폼 간 IP 공동 보유 시 제작비를 지원한다. 리마스터링, 메타데이터 구축, 배리어프리 자막(다국어 지원) 등도 지원한다. 영국과 프랑스, 동남아 등 주요 시장의 지역 제작사, 플랫폼과 공동투자·제작을 추진해 해외 신시장을 개척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