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댐부터 섬진강댐까지…환경당국, 홍수기 앞두고 현장점검 강화

입력 2024-06-18 1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화진, 물관리 '최북단' 군남댐 현장점검…19일 섬진강댐 방문
21일부터 홍수기…예년보다 강수량↑전망 속 현장行 빈도 상향

▲한화진 환경부 장관. (환경부)

환경당국이 여름철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를 앞두고 물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주요 댐, 하천 정비 현장 등 전국 곳곳 현장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예년보다 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현장 대응태세를 정비해 수해를 최소화하겠다는 구상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18일 경기 연천의 군남댐 현장을 방문해 홍수 대응 계획을 보고받고 △위성 및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등 감시체계 운영현황 △관계기관 비상대응체계 등을 집중 점검했다.

군남댐이 위치한 임진강은 우리나라 물관리 최북단으로 유역면적의 약 63%가 북한 지역에 속해 상류 상황을 알기 어렵고, 북측 황강댐의 예고없는 방류 등에 신속 대응해야 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부는 북한의 댐 방류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해 고해상도 위성 영상 등을 활용해 해당 지역을 주시하고 있다. 올해 6월 설치된 위성 직수신 안테나로 영상 확보 시간을 6시간 이상에서 2시간 이내로 단축했다. 위기징후가 감지되면 군·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 직통연결을 통해 상황 공유 및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또한 임진강 유역에서 홍수가 발생하면 군남댐·한탄강댐 연계 운영을 통해 하류 하천 홍수량을 저감시켜 피해를 예방할 계획이다.

홍수기 진입이 임박하면서 최근 한 장관의 댐·수해 발생 현장 등 점검 빈도는 늘어나는 모습이다. 특히 7~8월 강수량은 평년(622~790mm)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내일(19일) 제주를 시작으로 전국적 장마가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한 장관은 지난달 29일 충북 괴산댐을 찾아 수문 등 시설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하류 하천인 달천 공사 현장을 둘러봤다. 해당 구간은 작년 7월 집중호우로 일부 제방이 유실돼 응급 복구 공사가 이뤄졌다. 같은 달 30일 경남 합천 황강 하천 정비 현장, 31일 충남 논산 금강·논산천 수해 복구 현장을 찾아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논산은 지난해 집중호우로 대규모 농가 피해가 발생한 곳이다.

이달 7일에는 2022년 침수 피해가 발생한 서울 관악 도림천과 경기 광명 목감천을 찾아 홍수기 대응 계획, 물막이판 등 침수 방지 시설을 점검했다. 13일에는 강원 원주지방환경청 홍수대응상황실을 방문해 CCTV 실시간 운영 상황, 감시(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한 신속한 상황 전파 등 홍수기 대비 국가하천 상황관리체계를 살폈다.

한 장관은 이날 군남댐에 이어 19일 전북 섬진강댐을 찾아 홍수기 댐 운영계획, 홍수 취약지구 관리 등을 점검한다. 환경부는 홍수기에 접어든 이후에도 현장 점검을 이어갈 계획이다. 김정환 환경부 대변인은 "홍수기에도 장·차관이 작년 수해가 있던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방문할 계획"이라며 "장관이 현장을 찾으면 실무자는 한 번 더 체크하게 된다. 재난에 충실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홍수기 현장 점검과 함께 다각도 예방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 장관은 지난달 발표한 '2024년 여름철 홍수대책'에서 △인공지능(AI) 홍수예보 △국민체감형 정보 제공 △홍수 대비 물그릇 확보 등 중점 과제 이행 계획을 밝혔다.

세부적으로 AI를 활용해 홍수 예보지점을 현 대하천 중심 75개소에서 지류·지천 포함 223개소로 약 3배 확대하고, 홍수경보 발령·댐 방류지점 부근 진입 시 내비게이션 음성 안내를 제공해 저지대 등 위험지역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등이 담겼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