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2곳 중 1곳 “이사 충실의무 확대 시 M&A 계획 재검토·철회”

입력 2024-06-12 12:00수정 2024-06-13 08: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의, 이사 충실의무 확대 관련 기업 의견 조사
법 개정 시 ‘M&A 계획 재검토’(44%), ‘철회’(9%)
주주대표소송과 배임죄 처벌 등 확대 우려
“밸류업 위해선 자유로운 기업경영 활동 보장 필요”

기업 이사(경영진)의 충실 의무 대상에 주주를 포함하는 상법 개정 논의가 이뤄지는 가운데 이러한 법 개정이 국내 상장사들의 인수합병(M&A) 추진 등 기업 경영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상장기업 153개사(코스피 75개사·코스닥 78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상법상 이사의 충실 의무가 확대되면 절반 이상(52.9%)의 기업이 ‘M&A 계획 재검토’(44.4%)하거나, ‘철회·취소’(8.5%)하겠다고 응답했다고 12일 밝혔다.

특히 응답 기업의 66.1%가 상법 개정 시 해당 기업은 물론 국내 기업 전체의 M&A 모멘텀을 저해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들은 이사의 충실 의무 확대로 이사의 책임이 가중될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제도가 도입되면 ‘주주대표소송과 배임죄 처벌 등이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61.3%에 달했다.

현재 형법상 배임죄 등의 기준이 모호한 상황에서 이사의 책임까지 가중되면 장기적 관점의 모험 투자 등을 꺼리게 돼 오히려 기업 가치 제고 활동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실제 응답 기업의 84.9%는 배임죄 기준이 불명확하다고 응답했으며, 24.8%는 최근 5년 간 불명확한 배임죄 기준 때문에 의사 결정에 애로를 겪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외에도 ‘회사와 주주의 이익 구분 불가’(61.3%), ‘주주 간 이견 시 의사 결정 어려움’(59.7%) 등 실무 혼선을 우려하는 기업도 많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주주 중에는 지배주주도 포함되고, 비 지배주주 간에도 서로 의견이 다를 수 있는데 이런 문제들을 어떻게 정리할지 의문”이라며 “면밀한 검토 없이 도입하면 M&A나 신규 투자를 위축시키고 경영 불확실성만 높이는 결과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 응한 상장사들은 이미 다양한 방식의 주주 보호 장치를 갖추고 있었다. 62.1%가 내부거래위원회를 설치하고 49.7%가 전자주주총회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26.1%는 법정 기준보다 높은 비중의 사외이사를 포함해 이사회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사회가 지배주주에 대한 거수기 역할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안건 상정 전에 쟁점을 조정하기 때문’(66.0%)이라거나 ‘반대 이사가 있는 경우 표결하지 않고 철회 또는 조정 후 재상정’(28.1%)한다는 등의 이유를 들었다. ‘사외이사 풀(pool)이 적고 안건에 반대할 만큼 전문성 부족’(46.4%) 등의 의견도 있었다.

상장사들은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이사의 충실 의무 확대 등 규제보다 자유로운 기업 경영 활동을 보장해주는 법제도 문화가 정착되는 것이 더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는 ‘배임죄 명확화’(67.6%), 합리적이고 성실한 경영 판단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는 ‘경영 판단 존중 원칙 명문화’(45.9%), ‘밸류업 우수기업 인센티브 도입’(40.5%), ‘상속세 인하’(27.0%) 등의 의견이 나왔다.

송승혁 대한상의 금융산업팀장은 “경영진의 어떤 의사 결정이 회사에는 이익이 되고 주주에게는 손해가 되는지는 기업이 사전적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며 “기업들도 주주 보호를 위한 많은 제도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는 만큼 섣불리 규제를 강화해 경영의 불확실성을 높여선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