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폭염주의보 발령…증시에는 ‘폭염株 주의보’ 발령

입력 2024-06-12 10: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 10일 올해 첫 폭염주의보 발령
'폭염주'도 덩달아 들썩…빙그레 27.23%↑
한편 폭염주가 폭염 모멘텀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존재

▲영남지역에 올여름 첫 폭염특보가 내려지고 서울 낮 최고기온이 30도를 웃도는 등 무더운 날씨를 보인 1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에 지열로 인한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지난 10일,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내려지면서 관련주가 들썩이고 있다. 주로 여름이 성수기인 기업들이 대상이다. 이날 투게더, 부라보콘 등 빙과류를 판매하는 빙그레는 24.42% 올랐으며, 창문형에어컨 등 냉방기를 판매하는 파세코는 10.10% 상승했다. 한편, 증권가에서 '폭염주'는 실체 없는 테마라는 지적도 나온다.

빙과류 업체는 대표적인 폭염주로 꼽힌다. 여름이 되면 빙과류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11일 한국거래소 정보통계시스템에 따르면 6월 들어 빙그레는 27.23%, 월드콘, 설레임 등 빙과를 판매하는 롯데웰푸드는 25.35% 올랐다.

냉방기 수요 증가에 힘입어 선풍기·에어컨 등을 제조·판매하는 가전 업체도 폭염주로 간주된다. 지난 1년간 주가를 살펴봤을 때, 선풍기, 제습기 등을 취급하는 신일전자는 작년 5월에 최고가를, 6월과 7월에 각각 그다음 고가를 달성했다. 파세코도 동일한 주가 흐름을 보였다.

그 외 계육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하림, 전력주인 LS일렉트릭과 HD현대일렉트릭도 폭염주로 분류된다. 하림은 여름철 닭고기 수요 증가, 전력주는 냉방기 등 전력 사용 증가 기대가 폭염주로 분류되는 이유다.

한편 '폭염주'로 묶인 종목이 폭염 모멘텀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크라운해태홀딩스와 크라운제과, 해태제과식품은 빙그레와 같은 이유로 폭염주로 묶여 10일 상한가를 기록했지만, 크라운·해태 그룹은 2020년에 빙과 부문을 매각했다. 빙과류를 취급하는 빙그레나 롯데웰푸드와 달리 폭염에 따른 매출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하림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초까지 추진했던 HMM 인수 시도의 여파가 남아있다. 하림은 HMM 인수설이 불거졌던 지난해 12월 52주 신고가를 기록했지만, 인수가 무산된 올해 2월 급락한 바 있다. 현재 주가는 예년 수준이지만, HMM이 연내 재매각을 타진한다면 시나리오에 따라 하림 주가가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전력주인 LS일렉트릭과 HD현대일렉트릭은 인공지능(AI) 산업의 발전으로 전력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 한차례 급등을 겪었다. 올해 LS일렉트릭은 165.98%, HD현대일렉트릭은 246.11% 상승했다. 두 종목 모두 5월에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만큼, 주가가 이미 많이 올라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최근에는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달 들어 LS일렉트릭은 -9.70%, HD현대일렉트릭은 -7.48% 하락했다.

증권가는 폭염주에 대해 기업의 가치 분석 결과로 묶인 게 아니라 단순히 테마의 일종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폭염주로 묶이는 종목들은 실체가 없다. 폭염주로 꼽힌 종목이라도 실체가 있는 다른 모멘텀이 있으면 그쪽에 집중하는 게 맞다"라고 전했다.

다만 "폭염이 장기화하면 관련 업종에서 매출 증가 이슈가 생길 수 있으므로 주가가 오를 수도 있다. 만약 폭염 수혜주를 찾는다면 1차원적으로 접근하는 게 좋을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