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혜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장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 [저출생 해법모색 세미나]

입력 2024-06-11 16: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혜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원장이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저출생 시대, 변화하는 일·생활균형’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이투데이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과 함께 ‘저출생 시대, 변화하는 일·생활 균형 :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마련한 이번 세미나에선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 위기의 본질을 진단하고, 구체적 해결 방안 및 정책 등이 논의됐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고혜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향후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에 따라 여성 및 중장년층의 고용이 확대돼야 할 시점에서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은 국가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고 원장은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저출생 시대, 변화하는 일·생활 균형: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지난 20여 년간 연령대별 여성경제활동참여율이나 고용률을 보면, M커브는 상당히 완화된 것으로 확인되지만 35~44세의 경제활동참여율과 고용률은 고착돼 있다”고 말했다.

고 원장은 “경력단절 이유를 살펴보면 출산, 육아 등이 굉장히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일·생활 균형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도 많았다”라며 “청년층도 현재 일·생활 균형을 누릴 수 있는 기업을 선호하고, 가족친화인증기업을 받은 기업들이 선택을 많이 받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수의 기업에서 가족 친화 제도 활용률 외에 가족 친화적 직무환경과 조직문화도 조성돼있어 구성원들의 직장 만족도 및 조직 충성도도 증가하고 있음이 확인된다”며 “또한 가족 친화인증제의 사회적 검증 효과에 대해서도 참여 기업들 대부분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것도 확인된다”고 말했다.

고 원장은 해외사례를 제시하며 “스웨덴에서는 일하지 않는 여성을 굉장히 이상하게 보는 문화가 있다”라며 “복지국가 안에서는 누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확실히 잡혀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력단절여성을 주요 대상으로 재취업에 초점을 맞춘 기존 정책 방향은 경력단절 예방, 고용 및 경력유지로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