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독일 프랑크푸르트 사무소 개소…“880개 韓 기업 돕는다”

입력 2024-06-10 12:00수정 2024-06-10 14: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 베이징ㆍ베트남 하노에 이어 세 번째
공급망 불안 등 글로벌 이슈 공동 대응키로

▲서울 중구 상의회관 전경. (제공=대한상공회의소)

독일에 대한상공회의소 사무소가 들어선다. 독일에 유럽 전진기지를 두고 있는 880여 한국 기업들의 전략 파트너 역할을 할 계획이다.

대한상의는 10일 “한국 법인이 880여 개(신규 누적)에 이르는 독일에 대한상의 3번째 해외사무소를 냈다”며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사무소는 한국-독일 간 민간 네트워크를 강화해 양국이 직면한 공동 이슈에 대해 전략적 대응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독일은 한국의 유럽 내 최대 교역국이고, 한국은 독일에 중국에 이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수출시장”이라며 “한국과 독일의 민간네트워크를 강화해 양국이 직면한 글로벌 이슈에 대해 공동의 해법을 찾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한상의 프랑크푸르트 사무소는 1993년 중국 베이징(3500여 회원사), 2009년 베트남 하노이(1800여 회원사)에 이은 세 번째 해외사무소다. 한독 수교 141년만, 대한상의 출범 140년 만이다.

독일은 인공지능(AI) 스마트 팩토리 전략 발표 이후 제어시스템, 로봇 분야에서 최고 기술을 보유하면서 세계 기업들의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고 있다. 또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환경정책이 이어지면서 기후 위기를 기회로 삼으려는 기업들의 다양한 실험의 장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소, 배터리, 모빌리티 등에서 한국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전략적인 협력 관계가 이어지고 있다.

대한상의 독일사무소는 독일연방상공회의소, 프랑크푸르트 상공회의소와 함께 양국 기업의 경제협력 플랫폼 역할을 맡는다. △양국 상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글로벌 공동이슈 대응 노력 △기업 애로사항 조사 및 지원 △유럽연합(EU) 최신정책과 독일의 법·제도 등 정보 공유 △독일 정부, 경제단체 등과의 네트워크 구축 지원 등 다양한 협력사업을 추진한다.

이날 개소 기념 간담회에는 고경석 주프랑크푸르트 총영사, 마티아스 그래슬레 독일 프랑크푸르트 상의 대표, 유르겐 라칭어 국제담당 전무, 멜라니 밀러 독일상공회의소 아시아 담당을 비롯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포스코홀딩스, 한화, CJ, 한국타이어, 신한은행, 우리은행, 코트라, 가스안전공사, 한국은행, 산업은행 등 독일 진출기업 관계자들이 다수 참석했다.

대한상의와 독일 프랑크푸르트상의는 공동 아웃리치를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대한상의 대표로 참석한 박동민 전무는 “새로운 EU 리더십과의 네트워크 확대,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진출 등을 통해 유럽시장 아웃리치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 전무는 “최근 지정학적 리스크, 자국 산업 보호주의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제조업 중심의 유사한 산업 구조를 가진 양국의 공동 대응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양국 민간네트워크를 통해 통상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글로벌 벨류체인 상의 약점을 서로 보완토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상공회의소 라칭어 전무도 “대한상의 독일사무소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한국 기업들의 이익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EU 차원의 규제 및 경제정책 방향에 대해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