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트지오 대표 "동해 가스전 시추 유망"…산업장관 "지속적인 지원을"

입력 2024-06-07 18:31수정 2024-06-08 17: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 심해 기술 평가 전문 기업 액트지오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관련 발표를 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동해 심해 석유·가스 매장량 분석 등을 맡은 미국 액트지오사(社) 비토르 아브레우 대표는 7일 "동해 심해 가스전의 탐사 성공률은 20%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시추가 충분히 유망하다"고 말했다.

아브레우 대표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유망성 논의를 위해 마련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엑슨모빌 지질그룹장으로 재직 시 탐사 및 평가를 수행했던 가이아나 광구의 시추 전 탐사 성공률은 16%로 평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브레우 대표는 안 장관에게 △우드사이드와 한국석유공사가 공동 획득한 물리 탐사 자료 △석유공사가 단독 취득한 자료 △동해 심해에서 시추한 3개 공으로부터 획득한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심층 분석해 우드사이드와는 달리 동해 심해에서 7개 유망구조를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우드사이드는 2007년부터 석유공사와 동해 가스전을 공동 탐사한 호주 최대 석유개발회사다. 지난해 1월 철수한 우드사이드는 동해 가스전에 대해 "장래성이 없다"는 보고서를 냈다.

아브레우 대표는 우드사이드를 겨냥해 "타 석유개발 컨설팅 업체와는 달리 심해 탐사 기술분석에 집중하고 있다"며 "특히 심해 분야 인력, 역량은 메이저 업체와 비교해도 경쟁력을 갖췄다"고 말했다.

아브레우 대표는 오전 기자회견에서 매장 가능성 확인 시 정부가 탐사계획을 직접 발표한 사례를 언급한 것의 추가 설명을 해달라는 안 장관의 요청에 "석유·가스 탐사 또는 개발과 관련해 투자 유치 및 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정부가 발표한 것을 외국 사례로서 언급했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석유·가스 전량을 수입하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에너지안보 및 국민경제에 미치는 중요성 측면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이 갖는 의미와 향후 계획을 국민에게 알릴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해 직접 이번 탐사시추 계획을 발표한 것"이라고 했다. 아브레우 대표에게는 성공적인 탐사와 개발을 위한 지속 지원을 요청했다.

아브레우 대표는 방한 배경에 대해 "한국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관련 과도한 논란이 프로젝트 추진에 지장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며 "지금은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탐사·개발 방안을 논의할 시점이며 이를 한국 국민에게 설명하기 위해 방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브레우 대표는 동해 가스전 관련 보도에서 '탄화수소를 발견하지 못한 점이 리스크'라는 지적이 나온 데 대해 "이는 과거 시추했던 구조에서 유의미한 탄화수소를 찾지 못했음을 의미한다"며 "이번에 도출한 7개 유망구조는 향후 시추를 통해 탄화수소 부존여부 및 부존량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가 가진 역량과 전문성을 최대한 동원해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안 장관은 이달 중 국내·외 전문가가 참석하는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전략회의를 개최해 동해 가스전의 성공적 개발 방안을 논의하겠다는 구상을 아브레우 대표에게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