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프리카 정상회의 핵심광물 협력 속도…탈중국 발판 마련

입력 2024-06-04 15: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풍부한 핵심 광물 보유한 '기회의 땅'
포스코ㆍLG 공급망 다변화 노력
"아프리카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활용"

(출처=포스코경영연구원)

4~5일 아프리카 48개국이 참석하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열린다. 아프리카에는 반도체·배터리 생산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이 풍부하게 매장된 만큼,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핵심 광물 협력의 길이 열릴지 주목된다. 업계에서는 높은 중국 의존도를 낮출 기회로 보고 있다.

4일 포스코경영연구원에 따르면 아프리카는 전 세계 핵심 광물 중 코발트 70%, 백금족 90%, 망간 50% 이상을 보유하고 있고, 흑연ㆍ니켈ㆍ리튬 등도 생산되는 지역이다.

리튬의 경우 짐바브웨가 세계 6위 생산국이다. 확인된 매장량만 31만 톤(t)에 달한다. 모로코는 전 세계 매장량의 약 7%, 나미비아는 4%를 점유하고 있다.

코발트는 콩고민주공화국이 세계 최대 매장국이자 생산국이다. 2022년 기준 세계 코발트 매장량의 48%, 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 마다가스카르에도 약 10만 톤의 코발트가 매장돼 있고, 3000톤이 생산된다.

니켈은 부룬디아와 탄자니아 서부 지역 ‘동아프리카 니켈 벨트’에 상당량이 매장돼 있으며, 천연 흑연은 모잠비크에서 10만 톤 이상 생산하고 있다. 백금족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은 핵심 광물을 대부분 수입한다. 특히 중국산 비중이 가장 크다.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면 아프리카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2025년부터 중국에서 조달한 핵심 광물을 사용할 수 없도록 했다.

‘탈중국’이 시급한 과제로 꼽히면서 국내 기업들은 아프리카로 보폭을 조금씩 넓히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음극재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마다가스카르와 탄자니아에 천연 흑연 확보를 위한 지분 투자를 했다. 포스코퓨처엠은 3월 호주 광산업체와 모잠비크산 천연 흑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모로코에서 중국 야화와 수산화리튬 생산 협력을 진행 중이다. 모로코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로, 모로코에서 조달 또는 생산한 배터리 소재는 IRA 보조금 요건을 충족한다.

이번 정상회의에서도 핵심 광물 협력과 관련한 양해각서(MOU) 2건이 체결됐다. 핵심 광물을 안정적으로 수급하기 위한 ‘공급망 대화체’ 설립도 논의한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내 기업의 아프리카 투자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의 아프리카 투자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핵심 광물의 경우 정·제련 기술 부족, 내전 등의 정치적 불안 등이 사업 진출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꼽힌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에 따르면 한국의 교역 규모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 1.3%이며, 한국의 세계 직접투자 규모에서도 아프리카 비중은 0.5%에 불과하다.

한경협은 ‘한-아프리카 신산업 협력분야와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번 정상회의와 같은 고위급 협의체가 더욱 활성화해야 한다고 보고, 민간 협력 확대로 이어질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국내 기업들의 아프리카 투자와 진출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진출 기업을 위한 정책 금융 확대, 국가별 맞춤형 통상 협력 강화 등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과 아프리카 간 협력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며 “전통적인 분야 외에도 신산업 분야 진출 확대를 통해 아프리카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