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비 엇갈리는 G2 소비…힘 빠지는 미국 vs 살아나는 중국

입력 2024-06-03 17: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4월 미국 가계 소비 둔화, 일시적 현상 아닐 수도”
노동시장 모멘텀 둔화·저축 감소·부채 부담 증가
中 국내 관광 지출, 처음으로 대유행 이전 넘어설 듯

▲미국 시카고에서 한 쇼핑객이 매대에 놓인 물건들을 둘러보고 있다. 시카고(미국)/로이터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의 소비 지표가 엇갈리고 있다. 미국의 강한 개인소비를 뒷받침했던 다수의 동력이 한꺼번에 힘을 잃고 있는 반면, 중국에서는 국내 여행 수요 회복에 힘입어 관광 관련 지출이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2일(현지시간)“가계가 코로나19 사태 때 쌓아둔 자금을 다 소진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며 “미국의 4월 개인소비지출(PCE) 수요 감소가 단순히 일시적 현상이 아닐 수 있다”고 전했다.

미국 가계의 실질 가처분소득은 지난 1년간 소폭 증가에 그쳤다. 저축률은 16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소비자들은 신용카드나 다른 자금 조달 수단에 의존하고 있다. 여기에 4월 임금상승률이 5개월래 최저 상승 폭인 0.2% 오르는 데 그치면서 소비가 더욱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

실제로 미국 소매업체는 최근 수개월 동안 고객들이 더 저렴한 브랜드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발표된 기업 실적은 소비자들이 재량지출보다 생필품에 대한 지출을 우선시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고소득층마저도 할인상품을 찾는 등 가격에 민감해졌다.

글로벌회계법인 언스트앤드영(EY)의 그레고리 다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보고서에서 “노동시장 모멘텀 둔화가 소득 증가를 계속 제한할 것이며, 저축 감소와 부채 부담 증가에 직면해 지출을 억제하는 가구가 늘어날 것”이라며 “물가 민감도가 높아지는 점을 고려하면 가계 지출의 모멘텀은 점차 약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반면 중국인 여행객들의 국내 소비액은 올해 6조7000억 안을 돌파해 처음으로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전 수준을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관광협의회와 옥스포드이코노믹스는 중국인 관광객의 국내 휴가 소비 지출이 대유행 이전인 2019년 대비 약 11%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인들의 올해 해외여행 지출액 역시 2019년보다 약 10% 늘어난 1조8000억 위안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에는 미국 등 국가의 비자 처리 지연과 비싼 국제선 항공료로 인해 중국인들이 본토에서 휴가를 많이 즐기게 됐다. 이들은 중국 도시에서 매운 길거리 음식 등 현지 인기 음식을 즐기거나 인파를 피해 작은 마을로 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중국 내수가 위축된 상황에서 소비 진작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줄리아 심슨 여행협의회 회장은 “중국인들이 다시 여행을 시작하고 있으며 이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며 “관광 산업은 강한 회복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