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사당화’ 가속화...“李 연임에 조직 확대”

입력 2024-06-02 16: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친명’ 더민주혁신회의 2기 출범식
박찬대 포함 의원 10여 명 모여
‘당대표 임기’ 예외 당헌 개정 작업도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가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 계단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첫 의원총회에서 대화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친명(친이재명)계’가 더불어민주당 주류가 된 가운데, 이재명 대표 체제를 공고화하기 위한 작업이 가속화하고 있다.

2일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친명계’ 대표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혁신회의)’ 2기 출범식 참석해 “4·10 총선에서 민주당이 175석을 얻은 것은 당원분들의 헌신이 있기에 가능했다”며 “그 결과 이어진 공천개혁과 혁신 과정에서 효능감을 느끼고 있다”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당의 원내대표가 계파 모임에 참석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날 행사에는 박 원내대표 외에도 이학영 국회부의장 내정자, 정청래 최고위원 등을 비롯해 10여 명의 의원이 참석했다.

이 대표는 직접 참석하지 않았지만, 서면으로 축사를 대신했다. 이 대표는 “최근 우리 당원들은 공천뿐만 아니라 당의 주요한 결정 과정에도 직접 참여하고 싶은 열망을 나타내고 있다”며 “250만 당원은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는 큰 규모”라고 했다. 그러면서 “본격적인 당원 주권 시대를 열기 위해선 당원 뜻을 반영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전했다.

원외 조직으로 시작한 혁신회의는 이번 총선에서 31명의 당선자를 배출하면서 22대 민주당 최대 의원 모임으로 부상했다. 혁신회의 주요 인사들은 최근 주요 당직에 기용되기도 했다.

이 대표의 당내 위세가 높아지는 가운데, ‘연임’ 작업도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민주당 당무위원회는 3일 당헌·당규 개정 태스크포스(TF)에서 정한 ‘대선 출마 당 대표 사퇴 예외규정안’을 심의·의결할 예정이다. 당 대표나 최고위원이 대선에 출마할 경우 선거 1년 전 사퇴하도록 규정된 당헌·당규에 ‘상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사퇴 시점을 달리 정할 수 있다’는 단서를 붙였다.

8월 전당대회에서 선출되는 당 대표가 2027년 3월 있을 차기 대선에 나서려면 1년 전인 2026년 3월까지 물러나야 한다. 이럴 경우 당 대표가 없는 상태에서 2026년 6월 지방선거를 치르게 된다.

당의 위기를 의식한 것이라 하지만, 당 안팎에서는 이번 개정이 사실상 대권 주자인 이 대표 연임을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당 대표 연임이 유력시되는 이 대표가 2026년 지방선거 공천권을 행사하고, 대선 후보 경선 직전까지 당 대표로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당 일각에서는 반발의 목소리도 있다. 이 대표 연임에 대한 여론의 호의적이지 않은 가운데 중도층 민심을 잃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지난달 30일 전국지표조사(NBS)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대표의 연임에 대해 ‘적절하다’는 응답은 39%, ‘부적절하다’는 49%로 각각 집계됐다.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를 의식한 듯 이 대표는 새롭게 개정할 당헌·당규 놓고 선수별 의원 간담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3일에는 5선 의원들과 4일에는 4선 의원들과 만찬을 하면서 의견을 수렴한다. 정치권 관계자는 “당내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한 포석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