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골탈태 나선 SK, ‘사람-조직-문화’ 싹 바꾼다

입력 2024-06-20 15: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19개 계열사 대폭 줄이는 방안 검토
SK이노와 SK E&S 합병 급부상
SK스퀘어 비롯 제약·바이오 교통정리 가능성
경영전략회의 앞두고 경영진 교체·사업 재편 진행

SK그룹이 사업 포트폴리오부터 조직 문화까지 대대적인 변화를 꾀한다. 현재 200개가 넘는 계열사를 대거 정리하고, 다소 느슨해진 조직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주4일제’ ‘유연근무제’ 등은 폐지하거나 축소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이미 이달 말 열리는 SK 경영전략회의에 앞서 경영진 교체와 계열사 정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일 재계에 따르면 28일부터 이틀간 경기 이천시 SKMS연구소에서 열리는 SK 경영전략회의에서 사업 리밸런싱(재조정)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SK가 보유한 계열사는 219개로 우리나라 그룹 중 1위다. 삼성(63개)과 현대차(70개) 등 주요 그룹보다 월등히 많다.

특히 그룹 사업의 한 축인 ‘그린·바이오’ 사업 재편을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중복 사업을 정리하고 계열사 협력 체제 구축에 힘을 실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SK는 올해 초부터 다양한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해 사업 구조조정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자금난에 시달리는 SK온을 살리기 위한 방안으로 모회사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이 거론된다. SK온은 지금까지 23조 원에 달하는 투자금을 쏟아부었지만, 여전히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불어닥친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흑자 전환 시점도 불투명해졌다.

SK E&S는 연간 1조 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내는 ‘알짜’ 계열사로 꼽힌다. 두 회사의 합병이 성사된다면 SK온의 재무구조 정상화에 속도가 붙는 것은 물론, 석유부터 친환경 에너지까지 아우르는 자산 100조 원 이상의 에너지 전문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SK이노베이션과 SK E&S는 그룹 지주사인 SK㈜가 각각 지분 36.2%, 90%를 보유하고 있다. 최대주주가 SK㈜인 만큼 합병 결정 자체에는 무리가 없다. 이달 10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친동생인 최재원 SK온 수석부회장이 SK이노베이션 수석부회장을 맡아 SK의 에너지·그린 사업 총괄을 맡게 된 것도 합병 가능성에 힘을 싣는다.

다만 비상장사인 SK E&S와 달리 상장사인 SK이노베이션은 주주들의 찬성도 얻어야 한다. 재계 관계자는 “만약 합병을 결정한다고 해도 두 회사의 합병 비율이 SK이노베이션 주주들에게 손해가 된다면 쉽게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날 해명 공시를 내고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합병 등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 중이나,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SK온과 SK엔무브의 합병 뒤 상장 방안,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지분을 일부 매각해 SK온을 지원하는 시나리오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SK서린빌딩 (사진제공=SK)

투자형 중간지주사를 표방한 SK스퀘어도 고강도 재편이 예상된다. SK스퀘어는 SK하이닉스, 11번가, 티맵모빌리티, 원스토어 등을 비롯해 모두 23개의 자회사를 두고 있다. 그러나 SK하이닉스를 제외하곤 대부분이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해 SK스퀘어는 2조3397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SK네트웍스는 이날 SK렌터카 매각을 의결했다. SK네트웍스는 글로벌 사모펀드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에 SK렌터카 지분 100%를 8200억 원에 양도했다. 이 역시 SK 리밸런싱의 일환이다. SK네트웍스는 인공지능(AI)을 신성장 분야로 정하고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SK렌터카를 팔기로 했다.

SK팜테코, SK바이오팜, SK케미칼, SK바이오사이언스, SK플라즈마 등 SK 제약·바이오 계열사도 중복 사업을 통합하고, 계열사 협력 체계를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SK가스, SK에코플랜트 등이 각자 영위하는 수소 사업도 통합 수순에 들어갈 전망이다.

SK는 계열사를 덜어내는 동시에 ‘AI 및 반도체’ 분야에 힘을 줄 공산이 크다. 최태원 회장은 지난해부터 꾸준히 AI와 반도체 투자를 강조해 왔다.

문책성 경질도 잇따를 전망이다. 박성하 SK스퀘어 대표이사가 3개월 만에 해임됐고, SK온 최고사업책임자(CCO)로 지난해 8월 영입된 성민석 SK온 부사장은 10개월 만에 CCO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달 초에는 박경일 SK에코플랜트 대표가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경질됐다. 앞으로 추가적인 경영진 교체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그룹 차원의 조직 문화 변화도 감지된다. SK수펙스, SK㈜, SK하이닉스, SK텔레콤 등 주요 계열사가 도입했던 주 4일제(격주 또는 월 1회), 유연 근무제, 자율 좌석제, 재택근무 등을 폐지·축소하고 점심 시간을 1시간으로 제한한다는 것이 골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