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백신연구소-에스티팜, RNA 기반 면역치료제 공동개발 포괄적 업무협약

입력 2024-05-28 14: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mRNA 혁신신약 후보물질 도출부터 상업화까지 협력

▲염정선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왼쪽)와 김경진 에스티팜 대표가 28일 에스티팜 본사에서 진행된 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차백신연구소)

차백신연구소는 에스티팜과 ‘RNA 기반 면역치료제 공동개발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두 회사는 mRNA 의약품의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이를 상업화하기 위한 공동개발을 진행한다. 2025년까지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타깃으로 mRNA 혁신신약 후보물질을 공동으로 도출하고, 2026년에는 임상단계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에스티팜은 mRNA 핵심 플랫폼 SmartCap®과 STLNP® 기술을 통해 비임상후보 물질을 개발할 예정이다. 차백신연구소는 이렇게 도출된 후보물질의 임상시험을 비롯한 모든 개발 과정을 담당한다. 치료제가 상업화가 되면 모든 권리는 차백신연구소가 보유하며, 에스티팜은 치료제의 독점적인 생산 및 공급권을 갖는다.

차백신연구소는 독자 개발한 면역증강 플랫폼인 엘-팜포(L-pampo)와 리포-팜(Lipo-pam™)을 활용해 만성 B형간염, 대상포진 등 다양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백신의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며, 면역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인체의 면역반응에 관한 다양한 경험과 전문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협약에서 새로운 타깃을 선정하는 역할을 맡는다.

에스티팜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RNA 기반 신약 개발 및 생산에 필요한 자체 캡핑 기술과 LNP 약물 전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임상용 의약품은 GMP 생산이 가능한 반월 캠퍼스의 mRNA 전용 생산동에서 생산·공급할 예정이다.

염정선 차백신연구소 대표는 “현재 백신과 신약개발에 있어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mRNA 분야에서 차백신연구소만의 차별화된 타깃을 통해 신약개발 회사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김경진 에스티팜 대표는 “에스티팜의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는 ADP(Asset Development Program) 전략을 차백신연구소와 진행하게 돼 기쁘다”라며 “국내 RNA 기반 신약연구 및 개발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전략적 협업과 공동개발을 지속해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