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물가 상방 리스크 커졌다…미 연준 금리인하 시기·폭 기대 변화”

입력 2024-05-23 10: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은행)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국내 물가에 상방 리스크가 커졌다고 진단했다.

한은 금통위는 23일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했다. 작년 1월 기준금리를 3.25%에서 3.50%로 인상한 이후 11차례(작년 2·4·5·7·8·10·11월, 올해 1·2·4·5월) 회의에서 금리를 조정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이번 결정으로 역대 세 번째 최장 동결을 경신했다. 역대 최장 동결기간은 1년 5개월 21일(2016년 6월 9일~2017년 11월 30일)이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을 통해 “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상황이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며 “이러한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금통위는 올해 근원물가 전망치를 기존과 같은 2.2%로 예상했다. 금통위는 “앞으로 국내 물가는 성장세 개선 등으로 상방압력이 증대되겠지만 완만한 소비 회복세 등으로 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금년중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도 지난 2월 전망 수준인 2.6% 및 2.2%로 각각 예상된다”고 했다.

또한 국제금융시장에서의 미국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지난달 “미 연준의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가 약화되면서”라고 표현한 반면 이달에는 “미 연준의 금리인하 시기와 폭에 대한 기대 변화”라고 했다.

국내경제에 대해서는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는 2분기 중 조정됐다가 하반기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향후 성장경로 요인으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구조조정을 뺐다. 지난달에는 “향후 성장경로는 주요국의 통화정책, IT경기 개선 속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구조조정 등에 영향받을 것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달에는 “IT경기 확장 속도, 소비 회복 흐름, 주요국의 통화정책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