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등 CFE 확대로 온실가스 줄어…전환 부문 5년 새 24.1%↓

입력 2024-04-07 12:50수정 2024-04-07 15: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탄녹위, 2018~23년 온실가스 배출량·전원별 발전량 등 분석
발전과 산업 등 4개 부문 지난해 배출량 추산치 공개
정부, 탄소중립 100대 기술 추진 및 450조+α 투입해 녹색경쟁력 강화

▲지난달 26일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4 청정원 희망의 나무 나누기' 행사에서 나무심기 및 온실가스 감축을 기원하는 캘리그래피 퍼포먼스가 진행되고 있다. (뉴시스)

원자력발전과 수소 등 무탄소에너지(CFE·Carbon Free Energy) 확대로 전환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5년 새 24%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와 환경부는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전원별 발전량 등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7일 공개했다.

정부는 파리협정에 따라 연내 유엔에 '제1차 격년투명성보고서'(BRT)를 제출하고 내년까지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수립해야 하는 상황에 따라 이번 분석 현황을 공개한다고 설명했다.

정부 추산에 따르면 발전산업을 비롯한 전환 부문의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2억370만 톤으로 전년인 2022년 잠정치(2억1390만 톤)와 비교해 4.8% 줄었다.

특히 2018년 이후 무탄소 발전이 68.1TWh(테라와트시) 늘어 전력 소비량 증가분인 17TWh를 충당하고, 석탄 발전 가동축소 등을 이끌며, 전환 부문 탄소 감축율이 5년새 24.1%에 달했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발전량은 56.7TWh와 180.5TWh로 2022년(53.2TWh와 176.1TWh)보다 6.6%와 2.5% 늘었다.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등 화석발전은 지난해 342.7TWh로 2022년 356.8TWh보다 4.0% 감소했다.

정부는 이런 에너지 전환의 실효성을 바탕으로 ‘무탄소에너지 주류화(CFE 이니셔티브)’ 국제적 확산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산업 부문 배출량은 2억4470만 톤으로 전년 2억4580만 톤보다 0.4% 줄어든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대해 정부는 철강업체들이 노후 고로를 폐쇄하고 반도체업체들이 불소를 처리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경우가 늘어나는 등 산업계의 체질 개선 노력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는 "보다 강도 높은 감축을 위해 탄소중립 100대 기술 개발과 철강 분야의 수소환원제철 실증 등을 추진하고 산업 부문의 녹색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녹색자금을 450조 원 이상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건물과 수송 부문의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추산치는 4520만 톤과 9500만 톤으로 전년(4830만 톤과 9780만 톤)과 비교해 6.4%와 2.9% 감소했다.

탄녹위는 2022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잠정치)은 전년 대비 2210만 톤 감소한 6억5400만 톤으로 2010년의 65510만 톤 이후 가장 낮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또한 2023년 전환, 산업, 건물, 수송 등 주요 4대 부문에서 전년 대비 약 1727만 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추가로 감축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 관계자는 "탄소배출이 많은 일부 선진 국가는 감축경로를 지키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우리나라 및 영국, 일본 등은 2050 탄소중립을 향한 선형 경로에 따라 감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 때 2030년 NDC를 수립하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0.2%까지 높이기로 한 것과 수소와 다른 연료를 혼합해 발전하는 방안을 도입하기로 한 것, 플라스틱 원료를 바이오납사로 전환하기로 한 것 등 비현실적 감축 수단을 에너지 전원별 비중 개선, 산업 부문의 연·원료 전환 비중 조정 등을 보완해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