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홍해 막혀도 수출입 물류ㆍ에너지 수급 직접적 영향 제한적

입력 2023-12-21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출입 비중 4.8%, 원유 0.6%, LNG 2.9%…"장기화 시 해운운임ㆍ유가상승 우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이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해운물류 관계 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정부는 21일 홍해 인근 해역의 화물 선박 공격 등으로 인한 글로벌 해운·물류 차질과 관련 우리나라의 수출입 물류와 에너지 수급 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해운물류 관계 차관회의를 주재하고 홍해 인근에서 예멘 후티 반군의 민간 선박 공격 등 보안 위협이 지속됨에 따라 글로벌 해운·물류 차질 관련 동향 및 관계부처 대응체계를 점검・논의했다.

우선 정부는 점검회의를 통해 우리나라의 수출입 물류와 에너지 수급 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했다.

우리나라에서 유럽향 수출 선적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국적 선사는 홍해 해협을 우회하는 대체항로로 전환하거나 이를 검토하고 있다.

예멘 반군 공격 개시 이후에도 원유, LNG 등 주요 원자재 수급은 차질없이 이뤄지고 있으며, 유럽권 수입 비중이 작아 우회 항로 이용에 따른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파악했다.

수출입의 경우 올해 1~10월 국내 수출입 물동량 10억8000만 톤 중 대(對) 유럽 물동량은 5000만 톤으로 4.8%에 불과하다. 원유/LNG 수입 비중(1~11월)도 0.6/2.9%로 낮다.

정부는 국적 선박의 안전 유지를 위해 해양수산부, 외교부, 합동참모본부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실시간 대응 체계를 유지 중이며, 선사와 관련 협회에 홍해 통행 우회를 권고하고 실시간으로 현지 동향 및 유사시 행동요령 등 정보공유를 강화하고 있다.

김병환 차관은 “홍해 항로에서 발생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최근 수출 증가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필요하면 수출 바우처를 활용한 물류비 지원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홍해 통행 우회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차질로 인한 해운운임 및 유가상승 우려가 있는 만큼 관계부처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업계와 긴밀히 소통할 것”을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