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징후기업, 지난해보다 46곳 늘었다…기업 옥석가리기 본격화

입력 2023-12-18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료제공=금융감독원)
올해 부실 징후가 나타나 구조조정이 필요한 기업이 231개인 것으로 조사됐다. 금리 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이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금융당국에서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과 부실 정리를 유도하겠다고 시사하면서 기업의 옥석 가리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1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및 향후 계획’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해 231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46개사 증가한 것이다.

올해 C등급은 118개사, D등급은 113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34개사, 12개사 증가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 9개사, 중소기업 222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7개사, 39개사 늘었다. 정기 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이 부실징후기업을 선별하기 위해 실시하는 제도로, 평가등급별로 C와 D등급이 해당되며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곳은 C, 낮은 곳은 D로 분류된다.

금감원은 대내외 경기부진과 원가 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올해 금리 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 등이 증가한 데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코로나19 기간 중 부실징후기업 수가 감소하다가 2022년부터 증가세로 전환했다.

부실징후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세부 평가 대상이 많은 △부동산(22개) △도매·상품 중개(19개)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각 18개)에서 많았다. 전년 대비 △고무·플라스틱(+11개) △자동차(+8개) △부동산업(+7개) △도매·상품중개업(+6개) 등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 증가했다.

다만, 부실징후기업 증가에도 국내 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금감원은 보고 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2조7000억 원 수준(2023년 9월말)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3500억 원이며 이에 따른 자본규제(BIS 비율) 변화폭은 0.02%포인트(p) 하락으로 미미할 전망이다. 6월말 국내은행 BIS 총자본비율은 16.68%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과 부실정리 유도할 방침이다. 자구계획 전제하에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을 유도하여 채권단 중심의 경영정상화 지원한다.

또한, 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금융지원 강화할 계획이다. 영업력은 있으나 금융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 신속 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한 위기 극복 지원한다.

최근 금융당국이 부실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에 자기책임 원칙을 적용하겠다는 발언을 쏟아내면서 본격적인 기업 ‘옥석 가리기’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12일 “사업성이 미비한 사업장이나 재무적 영속성에 문제가 있는 건설사·금융사의 경우에는 시장 원칙에 따라 적절한 조정·정리, 자구노력, 손실 부담 등을 전제로 한 자기책임 원칙의 진행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어 14일에도 “건설업 등 취약업종 부실화가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되지 않도록 한계기업에는 자기책임 원칙을 적용하겠다”면서 “엄정한 사업성 평가를 반영해 건전성을 분류하고 보수적 시나리오에 기반해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도록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