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선점 이어 ‘혁신 경쟁’ 뒤처진 野?’

입력 2023-12-16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왼), 한동훈 법무부장관. 출처=연합뉴스,고이란기자 photoeran@

22대 총선을 앞두고 여야 모두 ‘혁신’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에서 먼저 중진의원 불출마 등이 시작되면서 더불어민주당이 상대적으로 혁신에 대한 노력을 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당대표직에서 사퇴하고, 장제원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여당이 먼저 혁신 경쟁에서 선점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선거마다 인물 쇄신, 이른바 ‘물갈이’에 적극적으로 나섰던 당이 승리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반면 민주당에선 이렇다 할 변화가 보이지 않으면서 김포 서울 편입이라는 공약 이슈 경쟁에 이어 혁신 경쟁에서도 밀린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당내에서는 ‘무엇이 혁신인가’를 두고도 의견이 나뉘면서 당내 갈등만 부각되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민주당 내 비주류 의원 모임인 ‘원칙과상식’은 이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에 현 지도부 사퇴, 통합 비대위 출범을 제안했다. 총선 승리를 위한 당의 단결‧통합을 위해서는 이 대표와 소위 친명(친이재명)계 의원들이 기득권을 내려놔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선 당 지도부 사퇴가 혁신이냐는 반박이 나온다.

한 재선 의원은 본지에 “지도부 사퇴가 혁신이냐. 인물 쇄신은 시스템과 기준 등을 통해서 결과적으로 당에 새로운 인물이 얼마나 진입했느냐로 평가를 하는 것이지 무조건적은 중진의원 불출마나 지금 일부에서 주장하는 당내 기득권 내려놓기가 혁신인지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중진 용퇴론 등 현역 의원들의 기득권 내려놓기 차원에서의 혁신도 ‘시스템’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

민주당 중진 의원은 “현역 의원 평가 하위 의원들에게 감산을 강화하는 것도 하지 않았나”라며 “앞으로도 민주당은 시스템적으로 자연스럽게 인물 쇄신이 될 수 있는 기준 등을 마련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국민의힘에서 대통령실에 의해 등 떠밀리듯 이뤄지고 있는 의원 불출마와 당대표 사퇴가 혁신일 수 없다는 주장이다.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표도 이날 오전 SBS라디오에 “국민의힘 의원 불출마, 당대표 사퇴는 곁가지의 변화”라며 “변화가 돼야 할 대상은 대통령실인데, 여당을 때리고 대통령실 입맛대로 누군가 당직을 내려놓는 건 혁신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다만 혁신에 대한 해석이 당내에서도 다른 만큼 당내 갈등이 계속되면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도 있다.

한 민주당 초선 의원은 “유권자가 보시기에 여당의 혁신이 시작됐고, 변화가 있다는 평가를 하시긴 할 것”이라며 “민주당 내에선 혁신을 두고도 무엇이 혁신이냐, 중진 용퇴론이냐 당권파의 내려놓기냐를 두고 의견 대립이 한동안 이어지지 않을까 싶다”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