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EF 참여국, '핵심광물 대화체' 출범키로…안정적 수급 기대

입력 2023-11-17 10: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광물자원 지도화·핵심광물 무역 확대·광물 회수 기술 협력 등 추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16일(현지시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진행 중인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정상들과 함께 서 연설하고 있다. 미국 주도로 출범한 IPEF에는 한국 등 14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AFP=연합뉴스)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참여국들이 핵심 광물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핵심광물 대화체'를 출범하기로 했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6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윤석열 대통령 등 14개국 회원국 정상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IPEF 정상회의에서 'IPEF 핵심 광물 대화체'(Critical Mineral Dialogue) 출범 합의가 이뤄졌다.

이번 정상회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주최했으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등 IPEF 14개국 정상이 참석했다.

IPEF는 한국, 미국, 일본, 호주, 태국, 인도 등 인태지역의 주요 국가들이 공급망, 기후변화 등 최근 새롭게 등장한 글로벌 통상현안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만든 협력체이다.

IPEF 참여국 정상들은 올해 5월 타결된 △공급망 협정 △청정경제 협정 △공정경제 협정의 실질 타결 등 성과를 거둔 것을 환영했다.

이어 공동 선언문을 통해 이들 협정이 △공급망 교란을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고 △청정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협력과 투자를 촉진하며 △부패를 방지하고 조세 행정의 효율성을 증진해 공정경제를 발전시키며 △상호 호혜적인 무역 협정의 성과 도출을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합의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40%에 해당하는 거대 경제권이 완성됐으며, 공급망, 청정경제, 공정경제 등 최근 등장한 글로벌 이슈에 대한 IPEF 차원의 공동 대응 체계가 마련됐다.

특히 IPEF 정상들은 한발 더 나아가 향후 새로운 협력과 미래 이슈에 대한 공동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활동에도 합의했다.

먼저 'IPEF 핵심광물 대화체(Critical Mineral Dialogue)'를 출범한다.

핵심 광물은 리튬, 니켈, 코발트처럼 이차전지를 비롯한 각종 첨단산업 제품에 들어가는 중요 광물을 말한다.

참여국 정상들은 "IPEF 핵심 광물 공급망을 강화하고 지역 경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보다 긴밀한 협력을 조성해 나가기 위해 핵심 광물 대화를 발족한다"고 밝혔다.

참여국들은 공동으로 역내 '광물 매장량 종합지도'를 작성하는 등 핵심 광물 자원 매장 현황을 정밀하게 파악하고 핵심 광물 관련 무역 확대에 협력할 계획이다.

또 핵심 광물의 특정국 의존을 낮출 수 있는 주요 방안 중 하나인 광물 회수 및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관련 기술을 참여국 간에 제공하는 방안도 목표로 제시됐다.

참여국 간 핵심 광물 상호 투자 증대를 위해서는 공공 및 민간 투자를 위한 안전장치를 구축하는 등 각국 투자 환경 투명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참여국들은 대화 출범 이후 분기별 실무 회의를 열고 우선 논의 분야를 선정한 뒤 연례 IPEF 장관급 회의에 진행 경과를 보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참여국들은 IPEF 국가 간 전문가 등 인적 교류를 활성화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전문지식 등을 공유해 나가는 'IPEF 네트워크'도 구축·운영해 나갈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