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상소] 토스뱅크, 창구 안가고 비대면 ‘비과세종합저축’ 서비스...3개월간 1만명 이용

뉴스를 포함해 이메일과 SNS 등에서는 고수익과 노후를 대비한 새로운 금융상품이 하루에도 수십 개씩 쏟아집니다. 하지만 금융상품들이 까다로운 우대 조건이나 파생상품화되면서 복잡해진 수익구조에 소비자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알리는 ‘파수꾼’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에 이투데이는 ‘금상소(금융상품소개서)’를 통해 철저히 금융소비자 중심의 투자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토스뱅크가 인터넷은행 최초로 전면 자동화 된 비과세종합저축 서비스를 운영, 사회배려대상자들의 금융편의를 높이고 있다.

토스뱅크는 ‘비대면 비과세종합저축’ 서비스에 3개월 간 1만 명의 고객이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비과세종합저축에 가입할 수 있는 고객은 대부분 금융 사각지대에 내몰릴 가능성이 높은, 장애인·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취약계층이 대상이다. 토스뱅크는 인터넷전문은행 가운데 처음으로 전면 비대면·자동화 한 서비스를 기획, 올 2월 도입했다.

토스뱅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비과세종합저축’ 서비스를 이용 중인 고객은 총 1만 명에 달한다.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취약계층이 약 70% 수준을 차지했다. 해당 서비스는 올 2월 도입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비과세종합저축은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은행이 취급한 저축 상품에 대해 최대 5000만 원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이자 등 소득에 대해 만기까지 비과세 혜택(일반 과세의 경우 15.4% 부여)을 부여하는 상품이다. 연간 금융소득 2000만 원 이하인 고객이 대상이다. 이들 가운데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고령자(만 65세 이상) 등 사회취약계층이나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와 그 유가족 등 사회를 위해 헌신한 분들이 포함된다.

그동안 비과세종합저축의 경우 대부분 금융사의 영업점 창구 등 대면 채널을 통해 개설이 이루어져왔다. 장애인 고객들의 경우 직접 장애인증명서를 발급, 은행 영업점에 방문해야 했고, 기초생활수급자인 차상위 계층에 속한 고객들도 창구 가입 과정에서 원치않게 신분을 밝혀야 하는 등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토스뱅크는 이들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고객들이 비과세종합저축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에 착안,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터넷은행 최초로 서비스를 기획했다. 고객들은 토스뱅크 예적금 상품에 가입하기 전 비과세종합저축 대상자 등록 한번으로 전면 자동화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모든 과정에서 별도의 서류제출 및 검증을 위한 대기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국가 상이유공자인 A 고객은 최근 토스뱅크의 비과세종합저축 서비스를 이용해 굴비 적금에 가입했다. 대다수 은행에서 앱을 통한 가입이 어렵다. 반면, 토스뱅크에서는 영업점 방문이나 증명서를 직접 발급해 제출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없어 거동의 제약이 있어도 손쉽게 가입할 수 있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대면 증빙이 필요했던 영역을 IT기술을 통해 전면 비대면으로 구현해내고 있다"며 "고객 개개인이 최적화 된 금융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사각지대를 줄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