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를 기회로…게임업계 “법제도 정비·역량강화 해야”

입력 2023-05-22 16: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인 보유 논란에 휩싸인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김남국 의원(무소속)발 코인 게이트를 기점으로 수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해온 게임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정치권에서는 P2E(돈 버는 게임)업계뿐만 아니라 게임산업 전반에 대한 규제 강화 움직임 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P2E를 비롯한 신산업과 게임산업 전반에 대한 재정비를 하는 동시에 게임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로잡고 성장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게임업계 내부에선 초심으로 돌아가 게임 본질에 집중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한 게임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다시 한 번 산업을 재점검해서 좋은 방향으로 가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면서 “비가 오고 난 뒤 땅이 굳듯, 이번 사태는 하나의 아픔이지만 새롭게 초심을 다잡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을 중심으로 게임업계를 정쟁의 도구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는 가운데 산업과 정치를 분리해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민주당 소속인 홍익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은 22일 'P2E 업계의 입법 로비 의혹을 밝히기 위해 6월 중 문체위 차원의 청문회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홍 위원장은 P2E를 포함한 게임산업 전반의 건전한 육성·발전 및 투명한 관리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과 과제에 대해 면밀히 따져보겠다는 입장이지만 여당인 국민의힘이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청문회 추진 과정에서 진통이 불가피해보인다.

한국게임정책학회 이재홍 학회장(숭실대 교수)은 “블록체인이나 NFT(대체불가토큰) 등을 사행성과 연결해서 이야기하면 할 말이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술은 메타버스 시대에 가장 필요한 융합기술”이라며 “이같은 사건에 휘말려 문을 닫거나 진흥을 늦춰버리면 글로벌 세계의 경쟁력이나 장악력에 있어서 뒤로 후퇴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를 계기로 연구자들은 진정성 있게 글로벌 기술을 만들어갈 연구를 할 필요가 있고 업계는 세계를 장악할 진정한 스토리가 내제된 지식재산권(IP)를 생산해야 하고 정부는 두말할 것 없이 산업이 훨훨 날 수 있도록 진흥을 장려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산업을 일궈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은 23일 2차 전체회의를 열고 위믹스 코인 발행사인 위메이드를 방문한 내용을 공유하고 넷마블 대표 등 업계 관계자, 전문가를 불러 김 의원에 대한 추가 의혹을 논의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