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움직임 및 기대인플레이션이 변수
물가 경로가 예상대로 움직이는 데다, 경기 침체와 금융리스크 등을 반영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다만 23일 발표되는 소비자 기대인플레이션과 환율 움직임 등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15일 한은에 따르면 오는 25일 금통위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3회 연속 동결을 점치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2월 이후 14개월 만에 3%대(3.7%)로 떨어진 데다, 불안한 경기와 금융 상황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0.3%)은 민간소비 덕에 겨우 두 분기 연속 역성장을 피했고, 통관기준 무역수지는 14개월째 적자다. 특히 중국 경제가 살아나야 우리 수출에도 도움이 되는데, 중국 디플레이션 리스크는 현재진행형이다.
금융리스크도 고려해야 한다. 올해 들어 감소세를 이어갔던 은행권 가계대출이 지난달 증가세로 전환했다. 한은에 따르면 GDP대비 가계신용 규모가 80%를 상회하는 경우 경기침체를 일으킬 가능성 커지는데, 이미 우리나라의 이 수치는 작년 말 기준으로 105.1%에 달한다. 24일 발표되는 1분기 가계 신용 결과가 생각보다 더 좋지 않을 경우, 금리를 올리기는 쉽지 않다.
또 다른 변수는 물가와 환율이다. 현재 한국(3.50%)과 미국(5.00∼5.25%)의 기준금리 격차는 1.50∼1.75%p로 벌어졌다. 1.75%p는 역대 최대 한·미 금리 역전 폭이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다만 한·미금리차가 외화 유출이라는 공식은 옛말이라는 견해도 있다. 환율은 미래의 기대치로 움직이는데, 오히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의 금리인하 가능성에 환율은 하반기로 갈수록 내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여러 차례 “한미 금리차에 기계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고 강조해왔다. 물론 원·달러 환율이 치솟고 외국인 자금이 대거 유출된다면 한은도 추가 금리 인상을 심각하게 검토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달 금통위 회의록을 보면 한 금통위원은 “국내 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으나 최근 들어 무역수지 적자 지속 등 국내 요인에 주로 기인해 여타 통화보다 평가절하되고 있다”며 “향후 국내 요인과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우려가 있는 만큼 환율 움직임을 유의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물가의 경우, 23일 발표되는 5월 기대인플레이션에 관심이 쏠린다. 4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7%로 전달 대비 0.2%포인트(p) 내렸다. 두달 연속 하락세인데, 5월도 하락세를 이어갈지는 지켜봐야 한다. 미국도 중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이 최근 다시 오르며 연준의 긴축 가능성이 다시 불거졌다.
한편, 25일 한은이 발표하는 수정경제전망에선 연간 경제성장률과 경상수지 전망치가 하향 조정될 전망이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은 “2월에 올해 경상수지를 260억 달러 흑자로 예상했는데, 오는 25일 수정경제전망 발표에서 경세성장률 하향 조정과 함께 흑자 규모도 조정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