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실 풍경] 동감과 공감 사이

입력 2023-05-10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월이 되자 계절은 눈부시게 아름다웠다. 푸르른 오월 어느 토요일 엄마와 초등학생 아들이 진료실을 찾았다. 아들은 열이 많이 났고 목이 많이 부어 있었다. 항생제를 처방하고 3일 뒤에 다시 오라고 말씀드렸다. 그런데 엄마가 뭔가 할 말이 있는 눈치였다.

“저기, 오늘 어디 가면 안 되겠죠?”

“네, 쉬어야 할 것 같아요.”

“OO야. 오늘은 안 될 것 같다. 엄마가 다음 달에 다시 예약할게.”

이내 아들은 닭똥 같은 눈물을 떨어뜨린다. 아들은 오늘 처음 본다. 진주 할머니 이야기를 하는 게 시어머니가 키우시는 것 같았다. 한 달에 한 번 진주에서 올라온 아들과 주말을 보낸다고 하는 걸 보니 그만한 사연이 있는 것 같았다. 이번에 올라오면 춘천으로 여행을 가기로 약속했고 아들은 엄마랑만의 여행을 기다렸나 보다. 엄마는 아들을 아픈 채로 시어머니한테 돌려보내는 것이 영 불편했을지도 모르겠다.

“내가 얼마나 기다렸었는데.” 아들이 입을 열었다.

“저기, 한번 가보죠.” 내 성격상 잘 하지 않는 말이 툭 튀어나왔다. “약 먹이고 다녀와 보세요.”

아이가 아픈데 여행 가도 되냐는 많은 질문에 나는 주로 안 된다고 하거나 굳이 가도 내가 허락한 것이 아니라는 식의 어물쩍한 태도를 하곤 했다. 행여 갔다 와서 아이가 더 나빠지면 그때 왜 가라고 했었냐고 할까 봐 책임을 굳이 지고 싶지 않아서였다. 그런 소극적인 자세를 못마땅해하면서도 늘 그렇게 대답해 왔던 내가 나도 모르게 여행 가시라고, 가셔도 된다고 말했다. 엄마와의 데이트를 기다리기에 한 달은 너무 먼 것 같았다.

의과대학 시절 환자에게 동감(empathy)은 해도 공감( sympathy)은 하지 말라고 배웠다. 동감은 환자의 아픔과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지만 공감은 이해를 넘어 감정까지 공유해 자칫 진단과 치료에 객관성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년 넘게 동네 의사로 지내다 보니 어디까지가 동감이고 어디부터가 공감인지 잘 모르겠다. 이번에 나는 동감을 넘어 공감까지 해 버려 객관적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 것일까? 설령 그렇다고 해도 배운 대로 하지 않았다는 자책감은 들지 않았다.조석현 누가광명의원 원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