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금융권은 이미 위험수위…연체율 시한폭탄 [美 SVB 파산 파장]

입력 2023-03-13 15: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저축은행 주요 재무현황. (예금보험공사)

저축은행 합산 연체금액 3조원 돌파…연체율도 3% 넘어
대부업체 부실도 심각…10%대 연체율로 빨간불
한국판 SVB 재연될 가능성에 금융당국도 예의주시

미국 서부 스타트업의 돈줄인 실리콘밸리은행(SVB)이 파산한 이유 중 하나로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이 지목된 가운데 국내 2·3금융권 역시 1년 새 치솟은 금리로 인한 부실 리스크가 상당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의 합산 연체 금액은 3조 원을 넘어섰고 연체율은 3%를 넘었다. 대부업체 연체율은 두 자릿수를 넘어 위험수위에 이르렀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 평균 연체율은 3.0%로 집계됐다. 지난해 1·2분기에 2.6% 수준이었던 연체율이 0.4%포인트(p)나 급등한 것이다. 연체금액도 3조4344억 원으로 직전 분기(2조9772억 원)와 비교해 4500억 원 넘게 증가했다. 저축은행권 합산 연체액이 3조원을 넘은 것은 2016년 6월 이후 약 6년 만이다.

자산규모가 작은 중소형 저축은행일수록 연체율은 올라가는 양상을 보였다. 자산 총액이 1조 원 초과 2조 원 이하인 저축은행은 연체율이 3.2%, 3000억 초과 1조 원 이하는 3.4%, 3000억 이하는 4.6%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가 늘어나면서 부실채권 위험성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3분기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3.5%로 2021년 12월부터 상승세를 보였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연체기간이 3개월 이상인 채권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로, 높을수록 부실자산이 많아 건전성이 악화됐다는 의미다.

이는 지난해 말 저축은행들이 무리하게 금리 인상 경쟁에 뛰어든 이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위험성을 떠안게 됐기 때문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부동산 PF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2.4%로, 2021년 말(1.2%)과 비교했을 때 1.2%p 상승했다.

저축은행은 부동산 PF 부실 위험 노출 가능성이 다른 금융업권에 비해 크다. 한국은행은 최근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지난해 9월 말 기준 부동산 PF 규모가 10조6000억 원이고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PF 비율은 75.9%로, 은행(10.5%), 증권(35.8%), 여전(39.9%), 보험(46.3%)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고위험사업장 관련 PF 대출 비중도 지난해 6월 말 기준 29.4%로, 다른 업권에 비해 높아 부실위험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진단했다.

3금융권인 대부업체의 부실 위험은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대부금융협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대형 대부업체 25개 사가 취급한 담보대출 연체율 10.2%로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월(4.8%)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급등한 수준이다. 대부업계 취급 담보대출 연체율이 통상 5~6% 수준임을 감안하면 지난해 대부업계의 건전성이 급격히 악화한 것이다.

최근 대부업계는 저신용자들의 연체 리스크가 늘자 신용대출 취급을 줄이고, 담보대출 비중을 전체 대출의 절반 이상 수준까지 늘려왔다. 그러나 기준금리 상승 여파로 조달금리가 상승하고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자 담보대출을 취급할 여력조차 사라졌다.

지난해 12월 기준 신규대출을 전면 중단하거나 취급 규모를 10억 미만으로 줄인 대부업체는 총 17개사에 달했다. 2022년 9월 테크메이트 신규대출 중단을 시작으로 12월에는 대부업계 1위 업체인 아프로파이낸셜대부(러시앤캐시)도 신규대출 취급을 중단했다.

대부업계 관계자는 “조달 비용은 오르는데 법정최고금리는 20%로 정해져 있어 (대부업체들이) 앞으로 영업을 보수적으로 하게 될 것”이라며 “대부업계의 신용대출과 담보대출 모두 취급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