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리포트] 1기 신도시 재건축 1번 타자는? ‘역세권·대단지’

입력 2023-03-05 1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기 신도시 30만 가구 재건축 사업이 본격적으로 속도를 낼 채비를 하고 있다. 정부가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신도시 특별법)을 선보이면서 우선 재건축 사업을 진행할 1기 신도시 내 지역과 단지에 모든 시선이 쏠린다.

입주 30년 차를 앞다퉈 맞이한 1기 신도시는 주택은 물론 수도와 난방 등 관련 인프라 노후화로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하다. 당장 재건축 사업 첫 삽을 뜨더라도 일정 물량의 순서를 정해 사업을 진행해야 해 최소 20년 이상 소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금 1기 신도시 재건축 사업 시작이 필요한 이유다.

장기적인 집값 안정을 위해서도 1기 신도시 정비가 우선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서울 인구 분산 기능을 맡아 집값 안전핀 역할을 하는 1기 신도시 재건축이 지연된다면, 서울 아파트값 안정도 장담할 수 없다. 1기 신도시 재건축 순항으로 추가 공급이 진행되면, 집값 급등기 때 안정적인 아파트 공급을 기대할 수 있어 유리하다. 이 밖에 재건축 이슈로 집값이 뛸 염려가 적은 지금이야말로 대규모 재건축 사업을 펼치기 좋다.

5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이번 신도시 특별법으로 가장 먼저 혜택을 볼 지역은 1기 신도시 내 재건축 선도지구다. 구체적인 지역은 내년 발표된다. 선도지구는 노후도와 주민 불편, 모범사례 확산 가능성을 고려해 먼저 정비사업을 시행하는 곳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1기 신도시(고양·성남·안양·군포·부천시) 지자체장은 5개 1기 신도시 지자체마다 한 곳씩 선도지구를 지정하기로 합의했다. 30만 가구에 달하는 1기 신도시 내 아파트가 일제히 재건축을 진행하는 것은 불가능한 만큼 여의도 시범아파트와 세종시 첫마을 사례처럼 우선 정비사업을 시행해 표준모델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선도지구에는 대단지와 역세권 단지가 우선 포함될 전망이다. 국토부가 지난달 7일 발표한 자료에는 ‘통합 정비사업 예시’로 대규모 블록과 역세권이 명시돼 있다.

일산에선 통합 재건축을 추진 중인 단지가 우선순위로 거론된다. 일산동구 강촌1·2단지와 백마1·2단지는 통합 재건축 추진위를 세우고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들은 통합 안전진단도 가장 먼저 신청했다. 일산서구에선 후곡3·4·10·15단지가 통합 재건축을 진행 중이다.

분당에선 시범단지(삼성·한신, 우성, 한양, 현대)가 지난해 통합 재건축 추진위를 꾸리고 활발히 활동 중이다. 1991년 입주해 재건축 연한(30년)을 훌쩍 넘긴 노후 단지로, 총 7800가구 매머드급 단지 규모를 자랑한다.

평촌과 산본, 중동에선 지하철 4호선 범계역과 평촌역, 산본역과 7호선 부천시청역 일대 단지가 재건축 선두주자로 나설 전망이다.

다만 재건축 사업은 장기 프로젝트인 만큼 장밋빛 기대는 이르다는 제언도 나온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연구소장은 “특별정비구역으로 지정돼도 단지별 순환개발을 완료하려면 20년 이상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