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 단독재판 ‘소가 5억원’까지 확대…내달 1일 시행

입력 2023-02-24 17: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법원행정처, 관련 규칙 개정…“신속 재판 기대”

다음달 1일부터 가사소송 1심 단독 재판부(판사 1명)가 맡는 사건이 소송가액 ‘2억 원 이하’에서 ‘5억 원 이하’로 확대된다.

대법원 법원행정처는 24일 이런 내용을 담은 ‘민사 및 가사소송의 사물관할에 관한 규칙’과 ‘법관 등의 사무분담 및 사건배당에 관한 예규’ 개정안이 3월 1일 정식 시행된다고 밝혔다.

▲ 제1심 가사 단독관할 확대 (2023년 3월 1일 시행). (자료 제공 = 대법원)

지금까지 소송가액이 2억 원을 초과하는 고액 가사소송이나 재산분할 처분 등 사건은 합의부(판사 3명)가 맡아왔다. 이 기준을 5억 원으로 높이면 1심 단독 재판부가 심리할 수 있는 사건이 늘어 사건 적체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는 게 법원행정처의 설명이다.

민사소송의 경우 지난해 3월 단독 재판부 소가 기준이 이미 2억 원에서 5억 원으로 바뀌었다.

이번 조정으로 약혼 해제나 사실혼 관계 부당 파기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 혼인과 이혼의 무효‧취소, 이혼 손해배상 소송, 입양과 파양의 무효‧취소, 재산분할청구권 보전을 위한 사해행위(채무자가 재산을 줄여 채권자의 권리를 해치는 행위) 취소소송도 소가 5억 원까지는 1심 단독 재판부가 맡는다.

다만 기여분 결정이나 상속재산 분할 처분은 지금처럼 1심 합의부가 처리한다. 이미 합의부가 심리 중인 사건도 재판부 변동은 없다.

개정안은 민사 단독 재판부의 관할 확대로 지방법원 항소심과 고등법원 항소심 사건 비율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고등법원 심판 범위도 조정했다.

1심 단독 판사의 판결‧결정‧명령에 항소‧항고하는 사건은 소송이 제기될 때나 청구 취지가 확장될 당시 소가가 2억 원을 넘었다면 지방법원이 아니라 고등법원에서 2심을 담당하게 된다.

1심 재판을 단독 재판부가 맡더라도 고액인 경우엔 부장판사급이 담당하고, 당사자들이 합의부 심리를 원하면 신청할 수 있게 했다.

법원행정처는 “가사 1심 단독 관할 확대를 통해 당사자의 신속한 재판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재판부 증설로 충분한 심리 시간을 확보할 것”이라며 “당사자의 절차적 만족감을 높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일경 기자 ekpark@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