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문가 70% "올해가 경제 저성장 고착화 원년 될 것”

입력 2023-01-11 12:00수정 2023-01-12 14: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의, ‘2023년 경제키워드 및 기업환경전망’ 조사
올해 경제 키워드는 ‘심연’, ‘풍전등화’, ‘첩첩산중’
“토끼굴 빠진 것처럼 경제 어둡고 혼란스러울 것”
전문가 10명 중 7명 “저성장 고착화 원년 될 것”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올해 우리 경제가 어둡고 혼란스러운 상황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경제 전문가의 70%는 "올해가 저성장 고착화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11일 대한상공회의소는 대학교수, 공공·민간연구소 연구위원 등 85명의 경제·경영 전문가를 대상으로 ‘2030년 경제키워드 및 기업환경전망’을 조사해 결과를 밝혔다. 전문가들은 올해 경제를 표현하는 키워드로 ‘심연’, ‘풍전등화’, ‘첩첩산중’, ‘사면초가’ 등의 단어를 꼽았다. 우리 경제가 토끼굴에 빠진 것처럼 어두울 것이란 우려다.

성장률 전망치 ‘싸늘’…“저성장 고착화 원년 될 것”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전문가 10명 중 7명(76.2%)은 올해가 ‘저성장이 고착화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는 의견에 동의했다. 이 가운데 △매우 동의한다는 응답이 27.4% △동의한다는 응답이 48.8%에 달했다. 이밖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3.8%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을 1.25% 수준으로 전망했다. 이는 주요 기관이 전망한 1.5~2.0%를 밑도는 수치다. 앞서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에 대해 국제통화기금(IMF)이 2.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8%, 한국은행 1.7%, 기획재정부가 1.6%를 전망했다.

올해 소비 및 투자전망에 대해서도 ‘작년과 유사하거나 둔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각 90.5%, 96.4%에 달했다. 수출에 대해서는 78.6%가 ‘작년과 유사 또는 둔화’를 예상했다.

세계 경제성장률 둔화…고물가·고금리 이중고 지속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도 주요 기관 전망치를 밑돌았다. 전문가들이 예상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은 2.22% 수준으로 주요 기관의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밑돌았다. IMF는 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2.4%, OECD는 2.2%를 전망했다.

주요 교역국들에 대한 경제 전망도 부진했다. 미국 및 중국경제 전망에 대해 ‘작년과 비슷하거나 악화할 것’으로 답한 비율은 각 71.4%, 75%였다.

새해 우리 경제가 직면한 경제 분야 리스크로는 ‘고금리 상황’(24.5%)과 ‘고물가·원자재가 지속’(20.3%)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수출 둔화·무역적자 장기화’(16.8%), ‘내수경기 침체’(15%), ‘지정학 리스크(미·중 갈등, 전쟁 등)’(13.8%) 순이었다.

향후 금리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질문에는 ‘미국 금리 수준’(39.3%)을 꼽은 전문가가 가장 많았다. ‘경기상황’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3.8%였고 ‘부채 상황’(21.4%), ‘국내 물가 수준’(15.5%) 순이었다.

미래 먹거리 산업은…배터리·바이오·모빌리티 꼽혀

반도체 이후 우리나라를 이끌 먹거리 산업으로는 배터리(21.2%), 바이오(18.8%), 모빌리티(16.5%), 인공지능(10.6%) 등이 제시됐다. 차세대 반도체가 계속하여 우리 경제를 이끌 것으로 예상하는 응답도 5.9%였다.

정부가 올해 중점을 두어야 할 경제정책 분야로는 ‘미래전략산업 육성’(25%)이 가장 많이 꼽혔다. ‘자금·금융시장 안정’(23.8%), ‘경제안보·경제외교’(11.9%), ‘수출 확대’(9.5%), ‘산업·기업 구조조정’(8.3%) 응답이 뒤를 이어 단기 과제로는 자금·금융시장 안정이, 장기 과제로는 미래전략산업 육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한국경제 성적 ‘B’…기초체력 약화 우려 나와
▲(제공=대한상공회의소)

작년 한국경제에 대한 평가 질문에 44.1%의 전문가가 ‘잘함’으로 응답한 가운데 ‘못함’(41.7%), ‘매우 못함’(8.3%), ‘매우 잘함’(5.9%) 응답이 뒤를 이었다. 등급으로는 ‘B’(29.8%)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어려운 대내외 여건에도 불구하고 우리 경제는 선방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조성훈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포스트 코로나로 접어들면서 소비가 크게 꺾이지 않았던 것, 반도체·자동차·석유화학 등 여러 산업기반을 골고루 갖추고 있었던 것 등이 상대적 선방의 요인들”이라며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바이오, 방산, 친환경에너지 등 더 다양한 산업을 촉진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우리 경제의 체력이 약해졌다는 우려도 존재했다. 황경인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무역수지의 적자 반전, 가계부채 누적 증가, 재정 건전성의 약화 등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 저하가 우려된다”면서 “특히 최근 들어 주요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자국 우선주의에 입각한 산업통상정책을 적극 펼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도 규제개선, 차세대 기술개발 지원, 인력양성 등 기초체력 강화를 위한 정책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