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CPI, 흠 잡을 곳 없는 하향 서프라이즈...내년 4분기 상승률 2.5% 안착”

입력 2022-12-14 07: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1월 CPI(소비자물가지수)를 감안하면 내년 중 물가가 지난해 대비 2%대에 진입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권희진 KB증권 연구원은 14일 "물가가 다시 한번 하향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컨센서스에 비교해 보나, 전년 대비 추세 또는 세부내용으로 보더라도 특별히 흠 잡을 곳 없는 서프라이즈"라며 "주요인은 상품 (goods)이었지만 서비스 부문도 전반적으로 상승세가 둔화했다"고 말했다.

13일(현지시각) 미국 노동부는 11월 CPI가 전년 동월보다 7.1%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 이후 최소 상승 폭으로 지난 9월까지만 해도 8%가 넘었던 CPI 상승률은 10월 7.7%로 둔화한 데 이어 11월에는 7%대 초반까지 내려온 것이다.

권 연구원은 "헤드라인 물가상승률의 추세는 완연한 둔화 국면으로 진입했으며 근원 물가상승률 역시 상승세가 주춤한 모습"이라며 "가격 변동성이 높은 항목들이 물가에 마이너스 기여를 했다는 점은 9월과 비슷하나, 최근에는 치솟던 서비스 가격이 둔화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다. 대부분의 영역에서 인플레이션이 완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내년 하반기 물가상승률은 2%대 진입을 예상했다. 그는 "지난 두 달의 서프라이즈를 감안하면 내년 중 물가가 전년 대비 2%대 진입할 수 있을 듯하다"라며 "예상보다 2%대로의 진입이 앞당겨질 전망이나, 한 달 한 달의 물가 흐름은 들쭉날쭉할 수 있다. ‘비싼 물가’가 둔화의 가장 큰 이유였다면 (수요 곡선상의 이동) ‘덜 비싼 가격’이 다시 물가를 자극할 가능성도 내재되어 있다는 의미"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최근 연준이 ‘주거비 제외 서비스 가격 안정’으로 물가에 대한 논의 영역을 축소하고 있는 만큼, 이후의 정책금리 경로를 가늠할 때 이제 고용지표가 명실상부 가장 중요한 데이터"라며 "소득은 수요 곡선 자체를 이동시켜, 물가의 안정적인 하향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