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국내 인플레이션, 에너지 상승 탓…하반기에 완화할 듯"

입력 2022-08-28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식품도 수입물가 상승 주도…환율 탓
석유 가격상승률, 비용상승률보다↑
에너지, 다른 품목보다 1.5배 영향 커
"환율 관리·가격상승 억제 노력 必"

(자료=산업연구원 제공)

국내 인플레이션 발생이 에너지와 식품 관련 수입물가 상승 탓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하반기엔 인플레이션 완화 될 것으로 보여 환율 관리는 물론 일부 품목의 과도한 가격 인상 억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8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생한 인플레이션은 국제적인 현상으로 수입물가 상승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수입물가 상승률이 6월 기준으로 33.6%에 달하며, 생산자물가 상승률에 기여한 비율이 최소 73%에서 최대 82%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수입을 하는 비용이 올라 생산자가 구입하는 가격 상승까지 이어지는 '비용인상형 인플레이션'이라는 의미다.

수입물가 상승에 영향을 준 품목은 석유와 원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와 비료, 농산물 등 식품이 주를 이뤘다. 비료와 농약은 수입물가 상승률이 91.4%, 석유와 원유 및 천연가스는 86.7%, 석탄과 석유제품은 53.8%에 달했다. 여기에 환율 상승도 수입물가 상승에 33.6% 영향을 줬다.

특히 석유와 석탄제품은 가격상승률이 비용상승률보다 30.1%P 높았다. 가격이 상승한 만큼 비용이 상승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반대로 전력은 가격상승률이 비용상승률보다 26.1% 낮아 들어간 비용 만큼 가격은 오르지 않았다는 의미다.

결과적으로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고 에너지 집약적인 산업 비중이 커, 수입 에너지 가격 변화에 생산자물가가 큰 영향을 받는다고 분석했다. 전체 품목과 비교했을 때, 에너지 가격 상승 영향은 1.5배 크다고 해석했다. 소비자물가와 수입에너지 가격의 상관계수 최대치도 0.75로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다만 보고서에선 국제유가가 진정되고 최근 긴축에 따른 세계경기 후퇴, 지난해 높은 상승에 따른 기저효과를 이유로 하반기엔 인플레이션이 점차 완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장기적으로는 물가 불안이 더 자주 일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환율 관리와 일부 품목의 과도한 가격상승 억제가 필요할 전망이다.

강두용 선임연구위원은 "전통적인 금융정책과 더불어 환율 관리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역시 금융긴축을 통해 물가를 안정시키는 기본적 역할 이외에도 대외 금리 차이를 통해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을 갖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독과점적 시장구조에 기초해 비용 상승분을 훨씬 초과하는 과도한 가격 상승이 판단되면 이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한 인플레 대응 정책의 하나"라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