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현금흐름, 7월 기준 연간 24% 감소

입력 2022-08-18 16: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0년간 증가세를 보이던 현금흐름, 올해 들어 감소
주택 구매자들의 대출 상환 보이콧까지 더해 위기 가중

▲2021년 9월 22일 중국 베이징의 헝다그룹 주택 개발 쇼룸 건물 근처로 건축 크레인이 보이고 있다. 베이징/AP뉴시스

10년간 꾸준히 성장세를 보인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현금흐름이 올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현지시간) CNBC방송에 따르면 옥스퍼드이코노믹스는 7월을 기준으로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현금흐름이 1년 전에 비해 24% 감소했다고 밝혔다.

7월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총 자금은 15조2200억 위안(약 2955조 원)으로 지난해 7월 자금인 20조1100억 위안보다 4조8900억 위안이나 줄었다.

관련 자료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매년 증가세를 보였던 현금흐름이 급격히 줄어든 것이다.

7월 중국 내 대출 수요가 급격히 줄고,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위기가 지속된 영향을 받았다고 CNBC는 설명했다.

중국 정부는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부채 의존도가 높아지자 단속을 강화했다.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그룹은 지난해 12월 달러 채권 이자 8249만 달러을 지급하지 못하면서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졌다. 스마오 등도 헝다그룹보다 더 낮은 상황이었음에도 채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주택 구매자들이 주택담보대출 상환을 보이콧하면서 문제는 더 악화되고 있다. 개발업체들의 디폴트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건설 프로젝트가 제때 이뤄지지 못하자 분양 대금을 미리 낸 수분양자들이 집을 인도받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어지면서 보이콧에 이른 것이다.

토미 우 옥스퍼드이코노믹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문제의 핵심은 자금 남용, 주택 판매 감소 등으로 개발업체들의 현금흐름이 충분치 않은 점”이라며 “이 문제가 해결돼야 구매자들의 신뢰가 되살아나 주택 판매가 늘고, 개발업체의 재무건전성도 개선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9월 만기되는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부채는 20억 달러(약 2조6460억 원) 이상이다. 8월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4분의 1 이상이 부동산 시장에 의존하는 만큼 부동산 위기가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