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스마트 EV 대상] 민경덕 서울대 교수 “격렬한 논쟁 거쳐 평가…전용 플랫폼 ‘강세’”

입력 2022-06-15 17: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심사위원단, 자동차공학회 소속 7인으로 구성
2달간 서류 평가-실차 시승-토론 등 3차 평가
평가 차량 중 "전기차 전용 플랫폼 차량 강세"

▲이투데이가 주최하는 '2022 스마트 EV 대상' 시상식이 15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개최됐다. 민경덕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가 심사위원단을 대표해 심사평을 하고 있다. (이투데이 DB)

민경덕 서울대 교수가 심사위원단을 대표해 ‘2022 스마트 EV 대상’ 수상 차종 선정 과정에 대해 밝혔다.

민 교수는 “평가 과정에서 정량화, 계량화를 하기 위해 굉장히 노력했다”라며 “1차 서류평가, 2차 실차 시승 및 고속주행 평가를 거친 뒤 3차 회의의 격렬한 논쟁을 통해서 수상 대상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심사위원단은 단장을 맡은 박용성 한국교통안전공단 상임이사를 필두로 민 교수, 김종찬 국민대 교수, 도영민 두원공과대 교수, 배충식 카이스트 교수, 손영욱 한국자동차연구원 본부장, 김유탁 한국전지산업협회 연구기획팀 수석 등 한국자동차공학회 소속 회원들로 구성됐다.

심사위원단들은 지난 4월부터 1차 평가를 시작했다. 4월 23일에는 경기 화성시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평가 차량의 실차를 모두 모아 내·외관 디자인, 주행 성능 등 기능적인 요소, 고속주행을 포함한 실차 시승 평가를 진행했다. 시상식 이전까지 약 2개월이 넘는 시간 동안 면밀한 검토를 거쳐 최종 수상 차량이 선정됐다.

민 교수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기반 전기차에 대해 심사위원단이 공통으로 호평했다고 전했다. “심사위원단들이 평가를 통해 얻은 결론은 상을 받은 차들이 모두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전기차 전용 플랫폼에 기반을 둔 우수한 전기차들이 계속 출시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민 교수는 “스마트 EV 대상 같은 시상식이 이어지면 우리나라의 전기차 산업 발전에도 굉장히 도움될 것 같다”며 “오늘 상을 받은 업체들에 진심으로 축하와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