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대기업 10곳 중 3곳 "작년보다 자금사정 악화"

입력 2022-03-28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경련, 수출기업 대상 자금사정 조사

(출처=전경련)

수출 대기업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비롯해 금리 인상,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자금 사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1000대 기업 중 제조업을 영위하는 수출 기업들을 대상(102개사 응답)으로 자금 사정을 조사한 결과 수출 제조기업의 31.4%는 현재 자금 사정이 지난해보다 악화했다고 답했다고 28일 밝혔다.

54.9%의 기업들은 자금 사정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응답했고, 호전됐다고 응답한 기업은 13.7%에 그쳤다.

기업들은 자금 사정이 악화한 원인으로 △매출부진 혹은 외상매출 증가(39.6%) △재료비ㆍ인건비 등 영업비용 증가(37.5%) △채무상환 및 이자 부담 증가(9.4%) 등을 지목했다.

이에 대해 전경련은 올해 기업들이 매출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에 금리 인상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기업의 이자와 원가 부담이 늘어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응답 기업들의 80.3%는 금리 인상이 자금 사정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고 답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을 받았다는 기업도 84.3%에 달했다.

기업들은 지속적인 금리 상승으로 올해 부담해야 할 이자비용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평균 8.3%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10%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 기업들도 33.4%에 달했다.

환율 상승이 기업 자금 사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도 64.7%였다.

전경련 관계자는 "기업들이 환율 상승으로 매출(수출)이 늘어나는 긍정적인 효과보다 수입 원자재 물가와 외화 표시 부채에 대한 이자 부담이 늘어나는 부정적인 효과를 더 크게 체감한 것"이라고 밝혔다.

기업들은 현재 자금을 조달하는 데 어려운 점으로 신규 대출 및 만기 연장(23.5%)과 환율 리스크 관리(20.3%)를 많이 꼽았다. △매출채권 회수(17.0%) △신용등급 관리(12.4%) △수출입금융(11.1%) 등도 있었다.

전경련은 환율 급변에 따른 손실과 매출채권 회수 부진으로 현금흐름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금리 상승으로 대출 여건마저 악화해 수출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차질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들이 올해 필요한 자금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해와 비교한 올해의 자금 수요에 질문에 65.6%의 기업이 비슷한 규모라고 전망했다. 31.4%는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자금 수요가 가장 크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는 부문은 △원자재ㆍ부품 매입(37.6%), △설비투자(28.1%), △인건비ㆍ관리비(17.0%) 등이다. 전경련은 기업들의 자금조달에 대한 어려움이 장기간 이어지면 올해 계획한 투자ㆍ고용 집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업들은 수출기업의 안정적인 자금 관리와 원활한 자금조달을 위해서 △금리인상 속도조절(32.4%) △공급망 관리 통한 소재․부품 수급 안정화(21.2%) △환율 등 외환시장 변동성 최소화(16.0%) △정책금융 지원 확대(13.4%) 등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적정 환율(원/달러 매매기준율)은 1144원이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최근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의 연쇄적인 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데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기업들의 자금사정은 더욱 악화할 것"이라며 "원자재 수급․ 환율 안정 등 리스크 대응에 주력하는 한편, 정책 금융지원을 확대하여 기업들의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