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은행 가계대출 석 달 연속 줄었다… 통계 작성 후 처음

입력 2022-03-10 13:57수정 2022-03-10 18: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달보다 1000억 원 감소… 주담대 증가 규모도 소폭 축소

(그래픽=신미영 기자 win8226@)

은행권 가계대출이 3개월 연속 줄었다. 금리 상승과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 은행권의 신용대출 관리 등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60조1000억 원으로 지난 1월 말보다 1000억 원 감소했다. 지난해 12월(-2000억 원), 전월(-5000억 원)에 이어 3개월째 감소세다.

2004년 관련 통계 속보 작성 이후 2월 가계대출이 감소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또 통계 작성 이후 첫 3개월 연속 감소다.

가계대출 증감을 종류별로 보면,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잔액 782조8000억 원)은 한 달 사이 1조8000억 원 증가했다. 전세 및 집단대출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됐으나 주택매매거래 둔화 등으로 전월(+2조2000억 원)보다 증가 규모가 소폭 축소됐다.

늘어난 주택담보대출 1조8000억 원 가운데 전세자금 대출은 1조4000억 원을 차지했다. 전세자금 대출 증가액은 전월과 같았다.

기타대출(-1조9000억 원)은 3개월 연속 줄었다. 특히 2월 기준으로 관련 통계 속보치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다.

황영웅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가계대출의 감소 배경에 대해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 대출금리 상승, 은행권의 신용대출 관리 지속, 주식 등 투자자금 수요둔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의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 대출도 지난달 2000억 원 감소했다. 주택담보대출은 2조6000억 원 증가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2조9000억 원 줄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에서 1000억 원, 상호금융을 중심으로 제2금융권에서도 1000억 원 축소됐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코로나 극복과정에서 커진 가계부채 증가세가 안정적 수준에서 유지되도록 연착륙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2월 중 은행 기업대출 잔액은 1085조3000억 원으로 전달보다 6조3000억 원 늘었다. 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등 계절적 요인 소멸 등으로 증가폭이 전월(+13조3000억 원)에 비해 축소됐으나 예년 수준을 웃도는 증가세를 유지했다. 2017~2020년 중 2월 평균 증가 규모는 4조2000억 원이다.

대기업대출은 7000억 원 늘었다. 운전자금 수요 감소 등으로 전달(+4조 원)보다 증가 규모가 축소됐다.

중소기업 대출(개인사업자 대출 포함)은 5조6000억 원이 증가했다. 시설자금 수요 및 코로나19 관련 자금 수요 지속 등으로 전달(+9조2000억 원)에 이어 증가세가 지속됐으며, 증가폭은 예년 수준을 웃돌았다. 특히 개인사업자 대출이 2조7000억 원 늘며 전체 중소기업 대출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2월 중 은행의 전체 기업 대출 증가액(+6조3000억 원)과 중소기업 대출 증가액(5조6000억 원)은 모두 2월 기준으로 2009년 6월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래 두 번째 많았다. 2월 기준 가장 증가폭이 컸던 시기는 2021년 2월이다.

여신(대출)이 아닌 은행의 수신은 2월에 큰 폭 증가로 전환했다. 수신 잔액은 2월 말 현재 2144조7000억 원으로 1월보다 무려 25조7000억 원 늘었다.

수신 종류별로는 기업 및 지방자치단체의 여유자금 유입으로 수시입출식예금이 21조4000억 원 증가했다. 정기예금 역시 지방자치단체 자금이 유입된 가운데 일부 은행의 기업자금 유치 노력, 예금금리 상승 등으로 7조2000억 원 늘었다.

자산운용사 수신(+2조9000억 원)도 소폭 증가했다.

반면 머니마켓펀드(MMF)는 은행의 단기자금이 유입됐으나 정부 운용자금이 유출되면서 3조8000억 원 줄었다.

이 밖에 기타 펀드(+4조 원) 및 채권형펀드(+1조9000억 원)는 증가세가 지속됐고, 주식형펀드(+1조3000억 원)는 증가로 전환했다.

한은은 "주식형 펀드는 우크라이나 사태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한 북미지역 투자펀드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채권형펀드의 경우 안전자산 선호 강화 등으로 자금이 유입됐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