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자구역에서 일자리 21만개 창출…2031년까지 51조원 투자 유치 목표

입력 2022-02-14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자구역별 특성 살린 발전 전략으로 6600개 사업체 추가 입주

▲2013년 경자구역 목표. (자료=산업통상자원부)

9개 경제자유구역청(경자청)이 경제자유구역(경자구역)별 특성을 살린 발전전략을 통해 2031년까지 6600개의 사업체를 추가 유치해 일자리 21만 개 창출하겠단 전략이다.

이들 경자청은 2031년까지 국내외 추가 투자유치 51조 원(누적 91조원), 입주 사업체 6600개(누적 1만3000개), 일자리 창출 21만개(누적 38만명) 등의 내용을 담은 경자구역별 발전계획을 제128차 경자구역위원회에서 보고했다.

경자청별로 산학연 혁신클러스터 구축, 첨단기술을 연계한 기존 주력산업 고도화 등 핵심전략산업을 차별화해 특화·육성한다는 추진전략을 수립했다. 신규 투자기업 유치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추가 단위지구 후보지를 검토하고, 투자기업 지원을 위한 기반·공공·기업지원시설 확충, 산학연 혁신생태계 조성, 맞춤형 기업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경자구역별 발전비전.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인천·충북·대구경북 (바이오·헬스케어)은 바이오의약품 생산, 신약 개발, 첨단스마트 의료기기 제조 등을 통해 K-바이오를 선도하고 글로벌 바이오클러스터로 도약하겠단 전략이다.

경기·충북·광양만(모빌리티)은 친환경자동차, 드론, 스마트선박 등과 핵심부품, AI 융합 자율주행 기술 접목을 통해 미래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하겠단 구상이다.

울산·광주·동해안(에너지)은 저탄소에너지, 스마트에너지와 관련된 부품의 제조 및 활용으로 탄소중립 지원을 가속화한다.

부산진해·대구경북·광주(첨단기술·부품)는 AI·ICT·로봇기술과 첨단소재·부품·장비 연계를 통해 기존 주력산업 고도화와 신산업 창출을 지원한다.

인천·부산진해(물류)는 세계적인 공항·항만 인프라를 기반으로 첨단물류 플랫폼과 전자상거래, MRO 등 신산업을 연계한 동북아 물류허브를 구축할 계획이다.

인천·동해안 (휴양·관광)은 초대형 복합리조트 조성과 콘텐츠 차별화 등을 통한 세계적인 관광 거점으로 육성한다.

정부는 경자청의 발전계획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자구역별 추가개발 수요에 대해 핵심전략산업 투자 목적의 실수요 중심으로 수시로 검토하고, 투자유치와 일자리 창출 성과가 우수한 경자구역을 대상으로 기반시설 지원과 맞춤형 기업지원프로그램을 강화할 방침이다.

진종욱 경제자유구역기획단장은 “이번 경제자유구역별 발전계획 수립으로 혁신성장의 청사진이 제시됐으며, 경제자유구역 2.0 혁신전략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며 “정부가 수립하는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과 이번 각 지자체의 발전계획이 유기적으로 연계돼 경제자유구역이 신성장동력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할 수 있도록 지자체 및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