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실손 보험료 9~16% 오른다

입력 2021-12-27 19: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령층 가입자, 실손 보험 인상 '폭탄' 우려…손보사, 내년에도 2兆 적자 전망

내년 실손의료보험 보험료가 가입 시기에 따라 평균 9∼16% 인상될 전망이다. 3~5년 주기 갱신이 도래한 가입자는 연령 상승 인상률까지 고려하면 인상률이 30%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2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1세대’ 구(舊) 실손보험(2009년 9월까지 판매) 과 ‘2세대’ 표준화 실손보험(2009년 10월∼2017년 3월 판매) 보험료의 내년 인상률은 평균 15%대일 것으로 관측된다.

1·2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는 2700만 명, 올해 6월까지 공급된 3세대 가입자는 약 800만 명이다.

당초 보험업계는 올해 실손보험의 손해액이 3조 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하며 1·2세대 실손보험료를 상한선인 25%에 가깝게 인상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소수 가입자와 일부 의료계의 도덕적 해이로 인한 만성 적자를 전체 가입자에 전가하는 것은 비합리적이고 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에 1·2세대 실손 보험료 인상률이 평균 15%대로 결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1·2세대 실손보험 보험료는 지난 2019년부터 4년 연속 평균 9.9% 이상 상승하게 됐다.

갱신 주기가 5년인 초기 가입자들은 2017∼2021년의 인상률이 한꺼번에 반영되고 연령 인상분까지 더해져 인상률이 30%를 넘게 된다. 40대 이하 가입자는 30% 이상 보험료가 오를 것으로 보이며, 50대 이상 고령층 가입자를 중심으로 더 큰 상승분이 고지될 가능성이 크다.

2017년 4월 이후 공급된 ‘3세대’ 신(新) 실손보험은 ‘안정화 할인 특약’이 종료되며 처음으로 보험료가 평균 8.9% 상승할 전망이다. 안정화 할인 특약은 지난해 1·2세대 보험료를 10%가량 올리는 대신에 3세대 보험료를 1년간 할인한 조치다. 올해까지 2년 연속 한시적으로 적용된 바 있다.

보험업계는 1~3세대 실손보험 가입자가 4세대로 전환하면 1년간 보험료를 50% 깎아주는 전환 할인도 내년 1월부터 6개월 동안 실시할 방침이다.

다만, 이 같은 보험료 인상에도 보험사의 실손보험 적자는 지속할 전망이다. 적자를 만회하는 데 필요한 인상분의 60% 정도만 보험료를 올리면서 내년 손해액도 2조 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사들이 7월 1일 4세대 실손보험 상품을 출시한다. (금융위원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