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스인덱스 분석 결과…비중도 지난해보다 1.2%P 감소
2030 청년세대의 감소 속도가 전체 인구가 감소하는 속도보다 훨씬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통계·기업분석 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2018년부터 올해 10월까지 20∼39세 인구 증감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30 세대는 2018년 1409만4000명에서 올해 1343만1000명으로 4.7%(66만2000명) 감소했다.
같은 기간 국내 총인구는 5182만6000명에서 5166만2000명으로 0.32%(16만4000명) 줄었다. 리더스인덱스는 2030 세대의 인구 감소 폭이 전체 인구 감소 폭의 약 15배에 달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2030 세대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8년 27.2%에서 올해 26.0%로 1.2%포인트(P) 줄었다. 2030 세대 감소가 두드러지는 광역단체는 울산(-11.1%), 경남(-10.3%), 경북(-9.8%), 전남(-9.17%), 부산(-8.1%) 등의 순이었다. 이는 산업 구조조정에 따른 일자리 감소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광역단체 중에서는 세종(+7.6%)과 경기(+0.17%)만 청년세대의 인구가 증가했다. 서울시는 2030 세대 인구가 2018년 299만8000명에서 올해 287만4000명으로 12만4000명 감소했지만,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2%로 광역지자체 중 유일하게 30%를 넘었다.
기초단체 가운데 시 단위에서는 77곳 중 15곳을 제외한 52개 시에서 청년세대의 인구가 감소했다.
2030 세대 인구가 증가한 15개 시 중 강원도 원주를 제외한 14개 시는 모두 경기에 속했다. 과천시(+24.8%), 하남시(+23.2%), 평택시(+15.2%), 화성시(+11.3%) 등의 순으로, 이들 지역 모두 같은 기간 동일 지자체의 전체 인구 증가율을 웃돌았다. 이는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면서 서울에서 이동한 것이 주된 원인일 것으로 리더스인덱스는 분석했다.
2030 세대가 많이 감소한 시 단위 기초단체는 통영시(-21.4%), 태백시(-20.9%), 삼척시(-18.8%), 거제시(-18.1%) 등의 순이었다. 전국에서 2030 세대 비중이 가장 높은 기초단체 자치구는 서울 관악구로, 38.9%가 청년이었다. 청년 비중이 가장 낮은 군은 경북 의성군(11.6%)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