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온 금리 인상 신호, 은행주 담아볼까

입력 2021-06-30 13: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다가온 금리 인상 신호, 은행주 담아볼까

은행은 금리상승의 대표적인 수혜주다. 과거 금리와 은행업 지수는 대체로 같은 방향성을 보인 바 있다. 금리가 상승하면 은행 이자 수익이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경기회복 기대감은 은행주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향후 금리 인상 반영 시 은행업 지수 추가 상승이 기대되는 이유다.

한국은행의 ROE(자기자본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추이를 살펴보면, 금융위기 이후 반등하면서 동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 이후 은행 PBR은 0.45배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올해 시중은행 ROE(9.2%) 살필 경우, 과거 17년 ROE, PBR 대비 주가 25.9~37.2% 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김지영 교보증권 연구원은 30일 “올해 은행 이익은 13조8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5.3%, ROE는 9.5% 늘어날 전망이다”라고 추정했다.

우선 △원화 대출금의 절대 금액 증가와 NIM(순이자마진) 상승에 따른 견조한이자수익 전망 △미리 쌓아둔 대손충당금으로 인한 대손비용 부담 크지 않을 것 △증권·보험 등 비이자이익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시중은행은 평균 9%대 성장률을 기록했다. 올해도 4~5%대 성장이 예상된다. 은행의 절대적 대출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규모의 경제 효과로 인한 견조한 이자수익 시현 기대로 이어진다. 하반기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으로 NIM 상승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다.

배당매력도 높아졌다. △국내 은행의 배당정책 변화(금융위원회의 자본관리 권고 종료)에 따라 향후 배당성향 상향 조정 가능성이 커졌고 △양호한 올해 실적 전망으로 안정적인 배당수익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은행의 배당수익률은 국고채(3년) 금리 및 정기예금 대비 여전히 매력적인 수준이다.

김 연구원은 “올해 은행은 원화대출금 절대 수준과 완만한 NIM 상승으로 인한 이자이익 증가 전망, 시장금리 상승 전망과 은행의 이익 달성이 가시화할 경우, 주가 상승 여력은 더 커질 전망이다”며 “최선호주로 KB금융, 하나금융지주를 제시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