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서울 서북 3구ㆍ고양시에서 실증 착수

입력 2021-05-26 14: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근 2년간 연세대학교 의료원과 20개 기관이 협력해 개발한 5세대 이동통신(5G) 기반 인공지능(AI) 응급의료시스템이 26일부터 실제 응급현장에 도입돼 실증에 들어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응급의료시스템이 서울 서북 3구(서대문ㆍ마포ㆍ은평)와 경기 고양시에서 36대 119 구급차와 9개 응급의료기관에 구축을 마치고 시범적으로 운영된다고 26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와 관련 실증 착수 선포식을 이날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했다. 선포식에서는 실증계획 소개를 비롯해 심혈관 질환 환자가 발생한 상황을 가정해 지능형 응급의료시스템이 구축된 구급차 안에서의 응급처치, 응급의료센터 선정, 최적경로 이송 과정 등이 재연됐다.

지능형 응급의료시스템은 구급차 안에서 실시간으로 중증응급환자의 다양한 정보(음성, 영상, 생체신호)를 수집해 5G 망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 응급의료 통합분석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플랫폼은 바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분류, 표준처치 매뉴얼 제시, 구급활동 일지 자동 작성, 치료 적합 병원 선정, 최적 이송경로 제공 등을 지원한다. 또 구급차 내 상황이 응급의료센터 의료진에게 실시간 영상으로 전송돼 응급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최적의 치료 준비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나 여전히 중증응급환자의 전원율이 선진국보다 높고, 응급처치와 환자 이송을 전담하는 119구급대원에게 제한이 많은 상황이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정부혁신 대표과제로서 지능형 응급의료시스템이 실제 응급현장에 투입되어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면 현재의 응급의료체계를 한층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 관계부처와 전국 확산을 모색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