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보건장관 22일 회담…코로나19 백신 등 보건 분야 협력 논의

입력 2021-05-21 20: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한미 보건장관이 22일 미국에서 만나 보건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도 논의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21일 한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기자들을 만나 “한미가 보건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며 “특히 한미 보건장관 회담이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다양한 보건의료 분야에서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하고,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권 장관과 하비에르 베세라 미국 보건장관의 회담은 현지시각으로 21일 오후 3시에 열린다. 우리 시간으로 22일 오전 4시다.

복지부는 권 장관은 코로나19 백신 추가 구매와 기술 협력을 위해 미국 백신 제약사들과의 면담도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에서 ‘코로나19 백신 파트너십’이 주요 의제 중 하나로 논의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이번 장관 회담에서도 백신 협력 방안이 구체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이 코로나19 백신 생산의 중심 임무를 수행하는 ‘백신 생산 글로벌 허브 구축’ 구상은 물론 ‘백신 스와프’ 등 백신 확보, 기술이전을 통한 국내 백신 생산 등 폭넓은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정부는 모더나, 노바백스와 백신 위탁생산 등에서의 협력을 약속하는 양해각서(MOU)도 체결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모더나와 위탁생산을 협의 중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존림 대표와 현재 아스트라제네카ㆍ노바백스 백신을 위탁 생산하고 있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안재용 대표도 미국으로 출국했다.

권 장관의 방미 일정에는 이강호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도 동행했다. 코로나19 대응과 함께 의약품ㆍ의료기기 등 보건의료산업 전반을 협력하는 방안도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