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피임약에 '날벼락'…원치 않은 임신한 칠레 여성들

입력 2021-04-07 10: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원치 않은 임신…밝혀진 피해자만 170명
CNN "피해자 더 많이 있을 것"
칠레 당국의 안일한 대처가 사태 키워
낙태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법도 문제

(게티이미지뱅크)

칠레에서 경구피임약 불량으로 170여 명의 여성이 원치 않는 임신을 하게 됐다. 문제는 칠레에서는 현행법상 태아나 임신부의 생명이 위험하거나 성폭행 임신인 경우에만 낙태를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어 원치 않는 임신을 하게된 여성들이 그 책임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는 점이다.

6일 CNN은 피해자 중 한 명인 곤잘레스의 사연을 소개하며, 피해자가 더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칠레 산티아고 외곽에 사는 네 아이의 엄마 신티아 곤살레스는 8개월간 아침마다 알람을 맞춰 놓고 경구 피임약을 복용했다. 문제의 약은 독일 제약사 그뤼넨탈의 자회사 실레시아에서 제조된 경구피임약 '아눌렛 CD'다.

중고 의류를 팔던 그는 노점상 일자리마저 잃어 먹고살기 더욱 힘들어진 상황에서 또 한 번의 임신만큼은 피하고 싶었다. 그러나 지난해 5월 그는 다섯 번째 임신 사실을 알게 됐고, 이제 2개월 된 아기의 분윳값을 걱정하는 처지가 됐다.

CNN 보도에 따르면 '아눌렛 CD'는 여성들이 매일 복용하도록 21개의 노란색 실제 피임약과 7개의 파란색 위약이 한 팩으로 구성됐다. 하지만 불량제품엔 실제 약과 위약이 뒤섞여 있어 구분할 수 없었다.

▲칠레에서 불량 피임약으로 문제가 된 아눌렛 CD 제품 사진

지난해 8월 칠레 보건당국은 이 약의 결함이 의심된다는 보건소 직원들의 신고를 받고 아눌렛 CD 13만9160팩을 리콜 조치했다. 보건당국도 트위터 등으로 리콜 결정을 알렸다. 하지만 리콜 결정을 본 소비자는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8월 리콜 결정이 내려진 다른 제조단위에서도 결함이 발견됐고, 칠레 보건당국은 9월이 돼서야 뒤늦게 피임약 제조 허가를 일시 중단했다. 하지만 이미 27만7000여 팩의 불량 피임약이 유통된 시점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칠레당국은 제조 허가를 일시 중단한 지 일주일도 안 돼 실레시아에 다시 제조 허가를 내주고, 아눌렛 CD도 다시 유통할 수 있도록 했다. 결함을 육안상 확인할 수 있어 의료인들이 불량 제품을 걸러낼 수 있다는 이유였다.

당국의 안일한 대처에 결국 시민단체가 나섰다. 여성단체 '밀레스'는 SNS와 언론 등을 통해 이 피임약의 결함 사실을 알리는 한편, 피해 사례를 수집했다. 문제가 확산하자 칠레 정부는 지난 2월 뒤늦게 실레시아에 6억650만 페소(약 1억 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CNN은 이러한 상황에도 제약사와 정부는 여성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약사 그뤼넨탈 대변인은 "제조 결함이 있어도 피임약 효능엔 문제가 없다"며 "원래 경구 피임약 효과는 100%가 아니다"라고 했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피임약을 올바르게 지속해서 복용했을 때의 임신 확률은 1% 미만이다.

또 칠레 보건당국 관계자는 "피임약의 효능은 항생제나 술·담배의 영향으로 달라진다"고 했다. 그러나 CNN은 흡연의 피임약효 반감 증거는 없으며, 술의 경우에도 음주로 인해 피임약을 토해내지 않는다면 영향이 없다고 의학전문가들의 견해를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