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수도권 임시 선별진료소 운영…숨은 감염원 찾기에 총력

입력 2020-12-13 11: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타액검사 PCR, 신속항원검사 신규 도입…다음 달 3주까지 집중검사기간 운영

▲수능 다음날인 4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에 설치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뉴시스)

14일부터 수도권 150곳에서 임시 선별진료소가 가동된다. 무증상·경증환자를 선제적으로 찾아내 감염경로 불명의 연쇄감염 고리를 끊기 위해서다.

1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정부는 14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향후 3주간을 집중검사기간으로 정하고, 이 기간 수도권 150곳에 설치된 임시 선별진료소를 통해 무료 진단검사를 대폭 확대한다. 임시 선별진료소는 서울역과 용산역, 대학가, 집단감염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설치되며 평일·주말 구분 없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된다. 군과 경찰, 수습 공무원 등 810명의 역학조사 지원인력이 투입된다.

임시 선별진료소에서는 휴대전화 번호만 제공하면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익명검사도 가능하다. 특히 검사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비인두도말 유전자증폭검사법(PCR)’ 외에 ‘타액검사 PCR’, ‘신속항원검사’ 등 2종의 진단검사법이 새로 도입됐다.

그동안 방역당국은 비인두도말 PCR를 주로 활용해왔다. 콧속 깊숙이 면봉을 넣어 채취한 검체에서 코로나19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가 2가지 이상 양성이면 확진으로 판단하는 검사법으로, 정확도가 높아 세계 표준검사법으로도 사용되며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약 24시간이 소요된다. 타액검체 PCR은 검체를 검사자가 뱉은 침에서 채취한다. 임시 선별진료소에서는 기본적으로 비인두도말 PCR이 사용되지만, 희망자는 타액검사 PCR로 대체할 수 있다.

신속항원검사는 콧속에서 검체를 채취해 코로나19 바이러스 구성 성분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법으로, 바이러스 자체를 확인하는 PCR과 달리, 면적반응으로 생기는 항체를 확인하는 검사다. 검사 후 현장에서 30분~2시간 후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PCR 검사보다 정확성이 다소 떨어진다. 이 때문에 신속항원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오면 반드시 PCR 검사를 추가로 진행해 감염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