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는 택배박스로 바이오디젤 연료 만든다”

입력 2020-10-13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IST, 유전자 가위ㆍ진화 원리…바이오디젤 원료 생산 수율 2배 향상된 미생물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이선미 박사. (사진제공=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 특히 경유차가 내뿜는 배기가스는 미세먼지와 온실가스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디젤이 아닌 바이오디젤을 사용하면 온실가스에 의한 기후변화 대응 및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적이지만, 현재와 같이 팜유, 대두유 같은 식물성 기름 또는 폐식용유를 화학적으로 처리해 생산하는 방식은 원료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가운데 늘어나는 바이오디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가능하며 경제적인 방법으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 개발돼 주목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이선미 박사팀은 버려지는 농업부산물, 폐지, 택배박스 등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디젤 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신규 미생물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특히 이 미생물은 기존대비 2배의 생산 수율을 보였다.

이 미생물은 목질계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당 성분을 먹이로 대사하는 과정에서 바이오디젤 원료를 생산할 수 있다. 목질계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당은 일반적으로 약 65~70%의 포도당과 약 30~35%의 자일로스로 구성된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은 포도당을 이용해 디젤원료를 만드는데 효과적이지만 자일로스는 이용할 수 없어 디젤원료 생산 수율을 제한하는 한계가 있었다.

KIST 연구팀은 포도당뿐만 아니라 자일로스도 효과적으로 이용해 디젤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신규 미생물을 개발했다. 특히 미생물이 디젤원료를 생산하는데 필수적인 보조효소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대사경로를 재설계했고, 그중에서 능력이 우수한 개체만을 선택해 재배양하는 방식 등 진화의 과정을 실험실에서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공법을 통해 자일로스 이용능력을 향상했다. 이를 통해 목질계 바이오매스 유래 자일로스를 포함한 당 성분을 모두 사용해 디젤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보조효소 문제가 있는 대사경로를 활용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해 생산수율을 2배 가까이 끌어올렸다.

KIST 이선미 박사는 “바이오디젤은 기존 디젤 차량 운행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대체 연료로, 바이오디젤 생산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핵심기술을 확보했다”며 “기후변화가 피부로 와닿고 있는 시점에서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바이오 연료 보급 확대가 이뤄진다면 관련 산업 확대 및 기술 개발이 더욱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신재생에너지연구사업으로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Global Change Biology Bioenergy’(JCR 분야 상위 0.55%) 최신 호에 게재됐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미생물을 이용해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개념도 및 미생물 개발. (사진제공=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