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재난지원금 효과 끝…7월 소매판매 6.0% 급감

입력 2020-08-31 08: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통계청 '7월 산업활동동향'…전산업생산 증가도 둔화…경기지수는 2개월째 상승

(자료=통계청)

산업활동지표 증가세가 꺾였다. 지난달 전산업생산 증가율은 0.1%로 둔화했고, 소매판매와 설비투자는 감소로 전환됐다.

통계청은 31일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서 지난달 전산업생산이 전월보다 0.1% 증가했다고 밝혔다. 소비는 6.0% 감소했다. 설비투자와 건설기성(시공실적, 불변)은 각각 2.2% 감소, 1.5% 증가를 기록했다.

먼저 생산은 광공업이 1.6%, 서비스업은 0.3% 증가했다.

광공업은 반도체(-4.8%) 부진에도 자동차(14.4%), 기계장비(6.0%) 등이 늘었다. 제조업 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세를 이어갔다. 출하는 내수와 수출이 모두 늘며 전월보다 1.6% 증가했다. 재고가 소폭(0.2%) 증가했으나, 재고/출하 비율(재고율)은 116.0%로 1.7%포인트(P) 내렸다. 평균가동률은 70.0%로 1.8%P 올랐다.

단 제조업 등 광공업생산을 회복세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 증가율이 전월 7.2%에서 1.6%로 둔화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2.5% 줄며 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어서다.

서비스업생산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전월 대비 증가율은 전월 2.2%에서 0.3%로 둔화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1.3% 줄며 5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산업별로(전월 대비) 도소매업이 1.4%, 교육서비스업은 1.7% 감소했으나, 금융보험업이 2.2% 늘었다. 숙박·음식점업도 2.3%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6.0% 급감했다. 직전 3개월간 이어진 증가세도 끝났다. 승용차 등 내구재(-15.4%), 의복 등 준내구재(-5.6%), 의약품 등 비내구재(-0.6%)가 모두 줄었다.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이 대부분 소진되고,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이 7월부터 축소돼서다. 소매업태별로 면세점과 편의점은 각각 8.5%, 0.8% 늘었으나, 승용차·연료소매점은 11.2%, 전문소매점은 5.7%, 백화점은 7.2% 각각 급감했다.

이 밖에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2.2%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도 전월 13.8%에서 6.7%로 둔화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14.7%)가 특히 부진했다. 반면, 건설기성은 토목(5.0%) 증가에 힘입어 전월보다 1.5% 늘었다. 건설수주(경상)도 공장·창고 등 건축(64.2%)과 기계설치 등 토목(149.2%)에서 모두 늘며 전년 동월 대비 81.5% 증가했다.

한편, 동행지수·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개월 연속 동반 상승을 이어갔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7.2로 전월보다 0.2%P,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3으로 0.4P 각각 올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