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 수출기업 10곳 중 6곳은 코로나 타격…맞춤형 지원 강화해야"

입력 2020-05-03 14: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수출 중소·중견 10곳 중 6곳은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은 2분기에 더 커질 것이기 때문에 중소·중견 수출기업을 위한 지원 대책 강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산업연구원은 올해 2월 24일부터 3월 20일까지 중소·중견 수출기업 400곳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중소·중견 수출기업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 분석 및 지원 대책' 보고서를 3일 발표했다.

▲중소·중견 수출기업 코로나19 부정적 영향 유발 요인별 발생현황 (자료제공=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중견 수출기업은 각각 65.8%와 63.6%가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에 직면해있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이 말하는 부정적 영향은 수출 마케팅 행사의 취소, 통관·유통의 지연, 수출품 생산 및 계약 차질 등 복합적 요인이었다.

특히 이들 기업은 코로나19로 인한 수출 상황 악화가 2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소·중견 수출기업은 매출실적과 영업이익률 악화, 원·부자재 부족, 수출대금 회수의 연기‧지연 관련 애로를 호소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영주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에 의한 해외수요 위축이 심화되면서 중소·중견 수출기업에 대한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이에 중소·중견 수출기업을 위한 지원 대책 강화가 긴요하다"고 주장했다.

중소·중견 수출기업이 생각하는 코로나19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단기 지원대책으로는 △원·부자재의 안정적 확보(27.6%) △거래선 다변화(23.9%) △공공 구매 확대(13.6%) △수출 및 판매대금의 원활한 회수(12.9%) 등 이었다.

보고서는 정부가 급격한 수출피해의 중소·중견기업에 대해서 피해기업 지정 등을 포함하는 맞춤형 지원 대책을 강화해 피해 부담을 낮출 뿐만 아니라 수출 체력의 고갈 방지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소·중견 수출기업이 코로나19 관련 기회 요인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를 실현하기 위한 지원 대책도 다각적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회요인은 코로나19 종식 이후 수출 물량의 증가, 스마트 바이오, 스마트 헬스의 글로벌 사업화 등이다.

이와 함께 코로나19와 같은 돌발 사태는 앞으로 지구촌 어디서나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위기 상황에서도 중소·중견기업의 변혁 또는 재도약 수요 등에 유효하게 작동하는 중소·중견기업 정책 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