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경희대 등 대학 총장들과 비공식 회동…"개강 연기 권고"

입력 2020-02-03 17:07수정 2020-02-03 17: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연명 청와대 사회수석 참석…신종 코로나 대응 방안 논의

▲감염병 경계 발령에 따른 대학 관계자 간담회 참석요청 (독자 제공)

정부가 중국인 유학생이 많은 대학의 총장들을 불러 모아 개강 연기를 권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학 학사일정은 대학 총장들이 결정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산할 조짐을 보이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선 것으로 보인다.

3일 대학가 등에 따르면 교육부 고위 관계자들은 이날 서울 모처에서 경희대, 성균관대, 고려대, 중앙대, 동국대, 한국외대의 총장 등과 비공식 회동했다. 이자리에는 김연명 청와대 사회수석이 참석해 신종 코로나 사태와 관련해 대학들의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교육개발원 등에 따르면 현재 국내 대학에서 유학 중인 중국인 학생은 7만1067명이다. 중국인 유학생이 많은 대학은 경희대(3839명), 성균관대(3330명), 중앙대(3199명) 등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교육당국이 개강 연기를 권고했다”면서 “신종 코로나와 관련해 중국인 유학생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등을 이야기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 관계자는 "회의에서 확실하게 정해진 것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달 29일 전국 대학·전문대 학생처장, 국제교류처장 등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대학 관계자 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한편 교육부는 이날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을 통해 집계한 학사일정 조정 현황을 발표했다. 유치원 393곳을 비롯해 초등학교 53곳, 중학교 21곳, 고교 16곳, 특수학교 1곳 등 전국적으로 484곳이 신종 코로나 우려에 따라 개학을 미루거나 휴업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의 경우 242개 대학을 조사한 결과 중국 후베이성을 방문한 뒤 자가 격리 중인 학생·교직원이 112명으로 파악됐다.

교육부는 중국에서 입국하지 못하는 유학생과 감염증 의심 증상으로 등교를 못하는 국내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 제한을 푸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일반 대학의 온라인 강의를 전체 수업의 20%로 제한하는 교육부 원격수업 관련 지침을 한시적으로 풀어주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