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미군 철수 결의안 가결...미국의 자충수, ‘反IS’ 동맹도 흔들

입력 2020-01-06 09:25수정 2020-01-06 14: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일 이라크 의회는 긴급회의를 열고 미군 철수 결의안을 가결했다. 이라크/AFP연합뉴스

미국과 이란의 갈등이 동맹 균열로 번지고 있다.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 격퇴전에서 미국과 손잡았던 이라크가 미군 철수 결의안을 가결하는 등 등을 돌리고 있다.

5일(현지시간) CNBC방송에 따르면 미국의 공격으로 이란 군부 최고 실세가 살해된 것과 관련해, 이라크 의회는 이날 긴급회의를 열고 미군 철수 결의안을 가결했다.

결의안은 “이라크 정부는 모든 외국 군대의 이라크 영토 내 주둔을 끝내야 한다”면서 “외국 군대가 우리의 영토와 영공, 영해를 어떤 이유에서든 사용하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어 미국 주도 연합군에 IS 격퇴를 위한 지원 요청을 철회할 것을 이라크 정부에 촉구한다고 밝혔다.

현재 이라크에는 미군 약 5000명이 12개 군기지에 분산해 주둔하고 있다. 이들은 이라크군 훈련과 군사 정보 제공을 통해 IS 소통 작전을 지원하고 있다.

미군이 거셈 솔레이마니 사령관 암살 사건에 앞서 지난달 29일 이라크 시아파 민병대의 군사시설 5곳을 폭격했을 때도 이라크는 주권 침해라며 강력하게 반발했다. 이라크 영토 안에서 미군이 정부의 허가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군사 작전을 감행했다는 이유에서다.

미 국무부는 이라크 의회가 미군 철수 결의안을 가결한 것에 대해 “실망했다”면서 “IS 소탕 작전은 미국과 이라크 양측의 국익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미국은 이라크 국민이 원하는 것을 제공하고 계속 IS를 소탕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미군은 이라크 정부의 초청으로 이라크에 주둔하고 있는 만큼 이라크가 반대할 경우 주둔이 어려워진다.

2003년 미국은 이라크 침공 이후 사담 후세인 정권이 축출되자 2011년 이라크에서 철수했다. 그러나 철수 이후 이라크에 힘의 공백이 생기면서 IS가 급속히 확장하자 이라크 정부는 2014년 미군의 재파병을 요청했다.

미국과 손잡았던 이라크 내 반미 감정이 고조되면서 당장 IS 소탕 작전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IS 소탕 작전을 담당하는 미군 주도 연합군은 이날 임무를 중단했다고 발표했다. 연합군은 이날 IS를 상대로 한 작전을 중단하고 모든 병력을 이라크 기지 보호에 집중한다고 밝혔다.

연합군은 성명에서 “IS 격퇴를 위해 우리를 환영하는 이라크 정부와 이라크 국민의 파트너가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앞으로 이라크에서 IS 소탕 작전을 계속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는 평가다.

미국의 공격으로 촉발된 중동 지역 상황악화를 두고 동맹국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미국은 사령관 살해를 “해외에 있는 미국 사람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설명했지만, 법적 근거와 정당성을 묻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어서다.

이라크의 이번 결의안 가결이 실제 미군 철수로 이어질지 불확실하지만 반미 정서 고조에 동맹 균열 등 중동 상황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게 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