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5G 초저지연 멀티무선 접속 기술 선봬

입력 2019-08-27 11: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가 LTE 진화 기술인 멀티무선 접속 기술 표준화 및 5G 상용망 테스트 성공

KT는 테사레스(Tessares)와 공동으로 멀티무선 접속 기술(ATSSS) 표준화하고 해당 기술을 5G 상용망에서 테스트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멀티무선 접속 기술은 KT와 애플, 도이치텔레콤, 오렌지텔레콤, 시스코 등이 협력해 3GPP 릴리즈-16 5G 시스템 구조 규격(TS 23.501)에 반영된 기술이다. KT가 2015년 세계최초로 상용화한 ‘기가 LTE’ 서비스, 올해 상용화한 ‘기가 5G’ 서비스 등과 같이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차별화된 멀티무선 접속 기술이다.

해당 기술은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기존 TCP 트레픽의 초기 접속 지연시간을 2배 이상으로 단축 시켰다. 또, 단말과 코어망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무선망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활용해 속도 증대뿐만 아니라 높은 전송 신뢰성을 제공한다. 때문에 SA(Stand Alone) 또는 NSA(Non Stand Alone)과 같은 5G 무선망 구조와 무관하게 추가적인 무선망을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차세대 멀티무선 접속 기술은 KT와 테사레스가 공동으로 국제인터넷 표준화기구(IETF) TCP 작업반을 통해 국제표준화를 주도해 왔다.

5G 차세대 멀티무선 접속 기술을 활용하면 고객에게 더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KT가 추진하고 있는 기업전용 5G 서비스에 접목되어, 스마트오피스, 스마트 팩토리 등 지연에 민감한 기업 응용서비스를 활성화 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5G NSA 구조에서 사용 가능한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병합 전송 기술은 5G와 LTE망에 모두 연결됨에 따라 지연이 발생하게 되고 기존 LTE 가입자의 전송속도 감소라는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KT는 현 NSA 구조에서 “5G First” 전략을 통해 모든 가입자에게 최고의 5G 체감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향후 5G SA 구조 도입 시 ‘5G 저지연 멀티무선접속 기술’을 통해 초 저지연, 초고속 5G 제공을 계획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제 표준화 주도 및 성공적인 상용망 테스트 등 관련 기술 선도를 지속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