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사업 현장에서 작동하려면 탁상공론 아닌 실행 기업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이번 시범 사업을 두고 의료계가 전면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한편 산업계와 의료계 일부에선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확산 흐름은 거스를 수 없다며 정부의 ‘시야 확대’와 ‘후속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 원격의료 시장은 올해 305억달러(약 36조원)로 추정되며, 2021년에는 412억 달러에 달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31만8000여개 이상의 건강관련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340여개의 웨어러블 기기 출시 등 디지털 건강 앱도 확산 중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에선 그간 한 발짝도 내딛지 못한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이번 시범사업으로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수행 지역으로 지정된 강원도는 격오지 만성질환자 중 재진환자를 대상으로 1차 의료기관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내원안내, 상담·교육, 진단·처방을 진행하게 된다. 특히 집에서도 의사-환자간 원격의료가 허용된다.
특히 혈당을 관리할 수 있는 앱, 생체신호 모니터링 등의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참여하게 되면서 환자들의 평소 건강 관리가 가능해져 그간 행동추적만으로 환자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던 부분이 일부 해소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 같은 형태의 시범사업이 현장에서 작동할 수 있기 위해선 정부 관계자들의 좁은 시야부터 개선돼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 의료계 전문가는 “정부 과제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시장에 대한 고민보다 정부 과제에 집중했던 경우가 더 많아 결국 시범사업으로 끝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면서 “정부 역시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이번 시범사업 참여 기업들 이외에 소비자들과 부딪히며 시장에서 커가고 있는 기업들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필요한 서비스로 인식되어야 다음 스텝(시장 적용)으로 나갈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또 다른 관계자도 시범사업 후 정부의 후속대책에 대한 밑그림도 그려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는 “민감도가 덜한 라이프로그(생활데이터)를 바탕으로 담당 주치의에게만 원격진료·진단을 받을 수 있다는 가이드라인 등 환자-의사를 위한 정부의 단계별 구성계획이 필요하다”며 “시범 사업 정도의 수준에선 의사는 생활데이터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환자 감시자 역할 수행이 가능하며 환자 역시 처방의 순응도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