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하락, 글로벌 증시 안정 수혜...'미래에셋친디아인프라섹터' 1개월 2.04%
최근 유가하락과 글로벌 증시의 안정 등으로 가장 큰 수혜를 입고 있는 지역은 중국과 인도다.
원유 수입국인 인도는 유가 급등에 따른 상품수지 적자 확대와 정치적 불안감 등으로 그 동안 끝없는 추락세를 보였다.
하지만, 현 정부에 대한 신임투표가 통과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됐고, 유가 하락으로 금융, 에너지 섹터가 강세를 보이면서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모습이다.
중국 역시 중국경제의 발목을 잡아온 국제유가의 하락세와 긴축에 총력을 기울여 온 중국정부가 증시안정기금 설립 등 증시부양책을 내놓는 등 '긴축'에서 '성장'으로 경제정책을 변화 할 조짐을 보이면서 투자심리가 호전돼 증시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국가에 동시에 투자하는 친디아 펀드가 재차 부각되고 있다.
지난 30일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29일 기준 '미래에셋친디아인프라섹터주식형자 1CLASS-A'의 1개월 수익률은 2.04%로 가장 양호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같은 기간 해외주식형 유형평균 -4.01%보다 초과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미래에셋우리아이친디아업종대표주식형자1자(C-A)'(0.81%), '미래에셋친디아업종대표주식형자1'(0.79%), 'PCA친디아주식자I-1ClassA'(-0.66%)등 거의 모든 친디아 펀드들이 해외주식형 유형평균보다 양호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친디아 펀드들의 수익률 회복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악재가 도사리고 있다.
인도는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위험요소다.
인도 중앙은행이 지난 6월 기준금리인 RP금리를 두 차례 인상한 데 이어 또다시 올릴 것으로 전망되고,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부의 재정지출이 크게 늘고 있어 재정적자가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되면 인도의 국가 신용등급이 더 낮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된다.
중국 역시 여전히 인플레이션 우려가 존재하는 가운데, 부동산·주식 가격 하락에 따른 자산 가치 감소로 신성장 동력인 소비가 뒷받침 해 줄 수 있을 지가 의문이다.
또한 국영기업들이 보호예수 기간이 끝난 비유통주를 시장에 매물로 대거 쏟아놓으면서 증시에 물량압박을 가하며 증시상승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에프앤가이드의 정지영 펀드애널리스트는 "이처럼 여러 가지 악재가 남아있음을 감안할 때, 중국, 인도 개별국에 투자하는 것 보다는 분산투자 차원에서 친디아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 위험을 분산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